•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저소득층의 우울증에 대한 무망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영향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6.02
2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6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58권 / 1호
저자명 : 엄태완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분석결과
5. 요약 및 실천적 함의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우울증에 대한 무망감 이론을 근거로 하여 저소득층의 외상과 스트레스 같은 부정적 생활 경험과 매개변인으로 제안된 무망감을 통하여 우울증이 유발되는지를 확인하고, 이 구조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세 이상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수급권자와 자활후견기관과 연계된 차상위계층 175명이다. 연구결과, 저소득층의 스트레스는 무망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스트레스와 무망감은 우울증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우울증에 대한 무망감 이론을 근거로 제안된 스트레스는 무망감을 매개변인으로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회적 문제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raumatic experiences and stresses
caused hopelessness and depression among low-income residents, and to delineate
what social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might play roles in relation to the
hopelessness theory of depress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target group of
this study was restricted to adults over 20. This study recruited 175 low-income
residents(the Beneficiary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and the Near Poor
Group) in Busan, Korea and employed a self-administered survey method during
February, 2004. The following are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First, in low-income subjects, stresses showed positive influences on hopelessness.
Second, in low-income subjects, stresses and hopelessness showed positive influences
on depression. Third, stress influenced depression with hopelessness as the
intervening variabl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h in traumatic
experiences. The hopelessness theory of depression is to test whether the individuals
who have negative attributional style and experience negative life events are likely to
make negative attributions for the negative events they confront. The present study,
using low-income residents, found that negative life experience predict negative
attributions without negative attributional style. Fourth, social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buff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opelessness. It was also
significant subscales apart from Positive Problem Orientation and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Fifth, social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buff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lessness and depression. It was also significant subscales apart from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and Impulsivity/Carelessness Style. Based on the
results, practice implications by identifying what social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might play roles in hopelessness theory of depression were discusse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저소득층의 우울증에 대한 무망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