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학교수업 및 자기학습과 대비한 사교육의 수학성적 향상 효과성 인식에 대한 종단적 고찰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10.01
3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1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학연구 / 48권 / 4호
저자명 : 김경년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사교육 효과성에 대한 기존연구
Ⅲ. 교육과정의 수직적 연계성에 대한 기존연구
Ⅳ. 연구방법
Ⅴ. 분석 결과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 1차~5차 자료를 활용하여 수학과목에 대한 중학생들의 학습방법에 대한 효과성 인식 수준 및 고교로 진학함에 따라 효과성 인식이 변화하는 양상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중학교 2학년생들은 사교육, 자기학습, 학교수업 순으로 효과적이라고 지각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패턴은 고 3학년까지 변하지 않았다. 또한 학교급간 효과성 인식의 격차가 존재하며 고교 단계에서 효과성 인식 정도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단계에서 세 학습방법에 대한 효과성 인식은 상호 연관되어 있었고 학년이 올라가도 효과성 인식의 변화 양상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주목할 것은 중학교 단계에서 학교수업이나 자기학습의 효과성을 높게 인식하는 경우에 고교 단계에서 사교육 효과성 인식에 대한 변화율이 가파르게 하락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중학교에서 사교육에 대한 효과성 인식이 높더라도 고교단계에서 학교수업이나 자기학습의 효과성 인식의 변화율과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ze the effectiveness of three learning methods in mathematics― classroom instruction, self-study, and private tutoring. Specially, how do students’ recognition for effectiveness of each learning method change during their transition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Study data were secondary data derived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for 2003–2007. Findings revealed that private tutoring, self-study, and classroom instruction, in that order, were the effective learning modes recognized by middle school juniors; patterns of recognition did not change across grades. Application of a piecewise latent growth model uncovered a gap in effectiveness levels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characterized by a drop in average levels for all three methods. This result implies a discontinuity in terms of vertical articulation in the curriculum. Using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level of effectiveness and the slope of change for these three learning methods. Study findings revealed that a strong correlations among initial levels of effectiveness; slopes in the same direction indicated that students believed different methods effective simultaneously. This implies that students utilized private tutoring as an enrichment strategy, not a remedial strategy. A higher initial level of effective classroom instruction was linked to a steeper decrease in the slopes for the effectiveness of self-study and private tutoring. Indeed, a higher initial level of effective self-study related to a steeper decrease in the slopes for the effectiveness of classroom instruction and private tutoring. However, the initial level of effectiveness for private tutoring was not related to reduced slopes for other learning metho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decrease dependency on private tutoring in high school, students must experience effective classroom instruction and self-study during middle school.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학교수업 및 자기학습과 대비한 사교육의  수학성적 향상 효과성 인식에 대한  종단적 고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