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 )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실천가 중 1명을 선정 그의 생애와 교육사상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3.02.10
- 최종 저작일
- 2019.12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과제정보
학과 |
교육학과 |
학년 |
3학년 |
과목명 |
교육사 |
자료 |
5건
|
공통 |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생애와 교육사상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30점).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생애와 교육사상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30점).
|
소개글
"교육사 )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실천가 중 1명을 선정 그의 생애와 교육사상의 특징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도산 안창호 선생의 생애
2) 도산 안창호 선생의 사상 및 교육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한반도는 삼국시대의 신라 화랑에서 조선시대의 성균관,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교육을 매우 중시 여겨왔으며 이를 기반으로 교육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교육기관 창설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다양한 교육학자들이 본인의 고유한 교육과 관련된 이론을 추구하며 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 왔다. 그 중에는 일반인들에게는 교육학자로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위인도 존재하며, 그 중 대표적인 인물이 일제 강점기 나라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도산(島山) 안창호’선생이다. 그는 이토 히로부미의 암살사건 및 윤봉길 의사의 상하이 훙커우 공원 폭탄 사건 등 대한 독립을 위한 굵직한 의거활동의 중심이 된 독립운동가로 알려져 있으나, 독립운동 못지않게 안창호 선생이 관심을 가진 분야는 바로 ‘교육학’으로, 그는 근대의 대표적인 대한민국의 교육사상가이다. 본 레포트를 통해 교육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도산 안창호선생의 생애와 그의 교육사상 전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1) 도산 안창호 선생의 생애1)
‘도산 안창호(島山 安昌浩, 1878~1938)’선생은 평안남도 강서군 초면 칠리에서 평범한 농가의 자식으로 태어나 8세 까지는 가정에서 한문을, 9세〜14세에 이르기 까지는 서당에 다니며 수항을 지속하였다.
참고 자료
「한국의 교육사상가」, 이문원 저, 문음사, 2002
「흥사단운동70년사」, 70년사 편찬위원회 저, 흥사단 출판부, 1986
「도산 안창호의 사회사상」, 박명규 저, 1983
「한국개화기 교육사상과 양계초사상의 비교연구」, 임양욱 저, 석사학위 청구논문, 영남대학교, 1983
「도산 안창호」, 박인주 저, 흥사단 출판부, 1984
「근대민족교육자들의 음악교육에 관한 연구 – 도산과 한서를 중심으로-」, 송경애 저, 석사학위 청구논문, 강원대학교,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