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만 방송학개론 1~11단원 완벽정리
- 최초 등록일
- 2012.09.01
- 최종 저작일
- 2012.03
- 22페이지/
MS 워드
- 가격 19,900원

소개글
KBS2차 필기시험을 대비하여 한진만의 방송학개론서를 완벽히 정리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방송의 개념과 범위
2. 방송의 역사와 현황
3. 방송과 규제
4. 방송과 편성
5. 방송조사
6.방송사의 조직과 구성
7. 방송사 경영 환경
8. 방송과 광고
9. 방송의 사회적 영향
10. 방송과 정치
11. 방송과 시청자
본문내용
1. 방송의 개념과 범위
1. 방송의 개념
ㄱ.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전파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행위”라고 방송을 정의하는 것은 편협. 오늘날의 다양한 방송형식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
ㄴ. 최근에는 방송프로그램이라는 말 보다는 방송콘텐츠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
1) 방송법에서의 정의
ㄱ. 방송법 2조(용어의 정의)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음
ㄴ. 주요내용(방송이란)
방송 프로그램을 기획/제작 → 일정한 순서에 입각하여 전송하도록 편성 → 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이를 공중(계약자 포함)에게 송신하는 것
ㄷ. 여러 가지 정의의 공통요소만 취합 時
방송: 프로그램을 기획/제작/편성하거나 취합하여, 다양한 서비스와 함께 공중 또는 가입자에게 무선과 유선의 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
2) 방송산업의 범위
ㄱ. 기존에는 ‘오락/문화 및 운동관련 사업’으로 분류 → 2007년 12월 새로 제정된 산업분류체계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ㄴ. 방송법에서 규정하는 방송사업자
1. 지상파방송사업자: 지상의 무선국을 관리/운영해 방송을 행하는 사업 및 사업자 KBS, MBC, SBS, EBS, 지역민영방송
2. 종합유선방송사업자(System Operator): 유선방송국의 설비와 그 종사자의 총체를 관리 운영하며 전송/선로설비를 이용하여 방송을 행하는 사업 및 사업자. T-broad, CJ, C&M, CMB, HCN
3. 위성방송사업자: 인공위성의 무선설비를 소유/임차. 무선국을 관리/운영하여 방송을 행하는 사업 및 사업자. Skylife의 ‘한국디지털위성방송
4. 방송채널사용사업자(Program Provider): 지상파, 유선, 위성사업자의 특정 채널 전부 또는 일부 시간에 대한 전용사용계약. CJE&M, KBSN, MBC플러스, SBS플러스, YTN, mbn
5. 공동체라디오방송사업자: 소출력(공중선전력10와트이하), 공익목적, 특정지역에 한정된 라디오방송 제공. 마포FM, 분당FM, 대구 성서공동체FM 등.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