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조선 후기 지식인의 일본 인식 변화 -<논어고금주>를 중심으로-

위영위영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2.09.19
최종 저작일
2018.06
3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20,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머리말

Ⅱ. 『論語古今註』 이전의 『論語』 해석의 특징
1. 16~17세기 『論語』해석의 특징
2. 18세기 『論語』 해석의 특징

Ⅲ. 조선 지식인들의 일본 古學派 학자들의 경설 인식
1. 정통유학자의 古學派 인식
2. 강화학파의 古學派 인식
3. 북학파의 古學派 인식
4. 고증학적 방법에 의한 古學派인식

Ⅳ.일본의 古學派가 정약용의 「일본론」과 『논어고금주』 저술에 미친 영향
1. 다산 정약용의 일본인식
2.「일본론」이 『논어고금주』 저술에 미친 영향

Ⅴ. 맺음말

본문내용

본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 『論語』 해석 양상의 변화와 조선 지식인들의 일본 古學派 인식을 바탕으로 古學이 『論語古今註』의 주석에 수록된 계기를 분석함으로써 조선 지식인들의 일본 인식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산이『論語古今註』를 저술하면서 일본 학자들의 經說을 수록하기 위해서는 조선 지식인들이 전통적으로 가지고 있던 중화사상과 문명사관에서 벗어나야 했다. 그들이 그것들을 극복하는 과정을 조선 후기 『論語』 해석상의 특징 변화와 통신사를 통해 소개된 일본 古學이라는 타자를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17세기에 조선 『論語』 해석에서 주자와 다른 견해가 처음 등장하였고, 18세기에 통신사를 통해 일본 古學이 국내에 소개되면서, 조선의 『論語』 해석에 대한 논의가 다채로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 지식인들의 『論語』 해석에 대한 시기별, 학파별 차이는 일본 古學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두 가지 사실을 바탕으로, 다산 정약용이 『論語古今註』를 편집하면서 일본 古學의 經說을 주석에 수록할 수 있었던 배경을 추적하였다.

주제어: 丁若鏞, 『論語古今註』, 일본 인식, 古學派, 荻生徂徠, 伊藤仁齋, 太宰純, 日本觀, 대외관계, 通信使

Ⅰ. 머리말
19세기 초 다산 정약용은 유배지인 강진에서 『論語古今註』를 편찬하였다. 『論語古今註』는 조선시대 경학 관련 저술 가운데 유일하게 일본 古學派 학자들의 經說이 수록된 『論語』 주석서이다. 19세기 이전까지 조선의 지식인들은 유가 경전에 주석을 낼 때, 반드시 宋學에 근거하여 주석을 내야 했다. 만약 그들이 그렇게 하지 않으면 학술계의 주류에 편입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학술적 환경 속에서 다산 정약용은 어떻게 『論語古今註』를 편찬하였을 때, 일본 古學派 학자들의 經說을 수록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다산 정약용이 『論語古今註』에 일본 古學派 학자들의 학설을 수록하기 위하여 어떻게 일본에 대한 지식을 축적해나갔을까?

참고 자료

정약용, 『정본 여유당전서』 「일본론」, 1986, 전주대학교 출판부
정약용, 『정본 여유당전서』 「민보론」. 1986, 전주대학교 출판부
하우봉, 『조선후기 실학자의 일본 연구』, 1994. 일지사
이익, 『國譯 星湖疾書』, 1999,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박홍식, 『한국의 사상가 10인 ─다산 정약용』, 2005, 예문서원
정약용, 『논어고금주』, , 2010, 사암
구지현, 『계미통신사 사행문학연구』, 2011, 보고사
임형택, 『한국학의 동아시아적 지평』, 2014, 창비
이을호, 『다산학각론』, 2015, 한국학술정보
이을호, 『다산경학사상연구』, 2015, 한국학술정보
조성을, 『연보로 본 다산정약용』, 2016, 지식산업사
손승철, 『조선 통신사, 타자와의 소통』, 2017, 경인문화사
夫馬進, 『燕行使와 通信使』, 2008, 신서원
마에다 쓰토무, 『일본 사상으로 본 일본의 본질』, 2014, 논형
장복동,「다산 《논어고금주』 경학적 분석」, 1992, 전남대학교 석사 논문
김영호,「정다산의 《논어》해석에 대한 연구 -《논어고금주》를 중심으로」, 1994,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한태문, 「朝鮮後期 通信使 使行文學 硏究」, 1995, 부산대학교 박사논문
정일균, 「다산 정약용의 세계관에 대한 사회적 연구 -《논어고금주》와 《논어집
주》를 중심으로」,1996,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김미현, 「신유한의 《해유록》에 나타난 대일의식》, 2011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박상휘, 「조선후기 일본에 대한 지식의 축적과 사고의 전환 -朝鮮使行의 記錄類를
중심으로」, 2015,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이효원, 「『해유록』의 글쓰기 특징과 일본 인식」, 2015,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하한솔, 「修己治人의 관점에서 본 丁若鏞의 仁에 관한 연구 : 『論語古今註』를 중심으로」, 2017, 부산대학교 석사논문
하우봉, 「다산 정약용의 일본유학 연구」, 1988, 한국문화 9권, pp211~263
이지형,「다산의 《논어고금주》에 대한 연구」, 1994, 대동문화연구 29권, pp3~23
임형택, 「계미통신사와 실학자의 일본관」, 1994, 창작과 비평, pp319~339
장동우, 「다산(茶山)과 청대고증학자(淸代考證學者)와의 연관(聯關)에 관한 고찰 :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를 중심으로」, 1994, 연세철학, pp160~181
김영호, 「다산 《논어고금주》 해석체계고」, 1995, 동양고전연구 4권, pp161-184
김영호, 「《論語古今注》에 나타난 丁茶山 經說의 特性」, 1998, 동양고전연구 11
권, pp293~312
김언종, 「정다산의 오규소라이 논어설 수용양상」, 2001, 일본사상 3호, pp119~137
오바다 미치히로, 「申維翰『海游錄』에 나타난 조일양국의 상호인식의 차이」, 2002, 논문집 16권, pp 199~215
하우봉, 「조선후기 실학자의 일본연구와 문헌 정리」, 2004, 일본사상 6호, pp181~208
조성을,「기호남인계 실학과 일본 고학(古學)의 비교- 《논어고금주》에 나타난 정
약용과 다자이 순다이(太宰春臺)의 견해를 중심으로」, 2005, 일본사상 제9호, pp63~87
하우봉, 「조선후기 통신사행원의 일본 古學 이해」, 2005, 일본사상 8호, pp165~200
정장식, 「1811년 易地通信과 通信使」, 2005, 일본문화학보 제 25집, pp
367~388
하우봉, 「조선 후기의 주체와 타자 인식 ; 조선 후기 한국과 일본의 상호인식」, 2006, 한국사상문학 27권, pp 25~63
하우봉, 「조선 후기 실학과 일본 근세 고학의 비교 연구 시론」, 2007, 『18세기
한일문화 교류의 양상』, 태학사, pp 65~102
김경숙, 「조선후기 韓·日서적 교류 고찰 –18세기 통신사 사행록을 중심으로-」, 2008, 한중인문학연구, pp227~259
이영호, 「퇴계의 『논어』 번역학과 해석학」, 2008, 한문학보 18집, pp
1339~1362
전재동, 「송시열(宋時烈)과 박세채(朴世采)의 퇴계설(退溪說) 비판(批判) -『퇴계사
서질의의의(退溪四書質疑疑義)』 “논어(論語)” 분석을 중심으로-」, 2008, 한국
한문학연구 42권, pp 255~282
김상홍, 「茶山의 日本 認識」, 2009, 동양학 46권, pp 65~84
신현승, 「덕천시대(德川時代)의 《논어(論語)》관(觀)과 그 학문정신 -고학파(古學
派)의 《논어(論語)》관(觀)을 중심으로-」, 2009, 동양철학연구 59권, pp175~205
이영호,「조선 논어학의 형성과 전개 양상」, 2009, 동양철학연구 59권, pp119~173
정은영, 「조선 후기 통신사(通信使)와 조선중화주의(朝鮮中華主義) -사행(使行)기
록에 나타난 대일(對日) 인식(認識) 전환을 중심으로- 」, 2009, 국제어문 제49권, pp 349~385
김정신, 「1763년 癸末 通信使 元重擧의 일본의식」, 2010, 조선통신사연구, pp67-109
황준걸, 「비교사상사의 관점에서 18세기 동아시아 유학자들의 사상세계를 논함」, 2010, 한국실학연구 19권, pp7~53
권문봉,「다산 《논어》주석의 고증적 성향 고찰」,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48집, pp169~203
김성준, 「18세기 통신사행을 통한 조선 지식인의 일본 古學 인식」, 2011, 동양한
문학연구 32권, pp155~181
김영호, 「《論語》 解釋에 나타난 茶山 丁若鏞 經學思想의 特性」, 2011, 동방학, pp327~352
김원명·서세명, 「다산, 성리학과 탈성리학 사이에서 - 《논어고금주》를 중심으로
-」, 2011, 철학과 문화 22권, pp1~26
하우봉, 「18세기 일본사상의 전개양상과 성격」, 2012, 역사학보 제213집, pp155-179
김성준, 「정다산(丁茶山)과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의 경학經學 및 경세학(經世學)의 비교 연구사 검토」, 2014, 국학연구 25권, pp383~420
진재교, 「18세기 조선통신사와의 지식·정보 교류」, 2014, 한국한문학연구 56권, pp359~392
이효원, 「通信使와 徂徠學派의 교류 양상과 그 의미」, 2015, 한국문화 77권, pp19~47
구지현, 「1748년 조선의 통신사와 동아시아의 지식 유통 양상 - 일본 학파에 따
른 교류 양상을 중심으로 」, 2016, 열상고전연구 53권, pp 95~129
이효원, 「18세기 徂徠學의 흥기와 通信使」, 2016, 조선 통신사연구 21권, pp1~25
이효원·하지영, 「1719년 통신사행과 일본문단에 대한 인식의 변화 -申維翰의 贈 日本人序文을 중심으로-」, 2017, 한국고전연구 38집, pp47~85
하우봉, 「17~19세기 한일문화교류 흐름의 의미」, 2017, 대동문화연구 98권, pp 269~297
하우봉, 「통신사행 문화교류의 새 양상」, 2018, 한일관계사 연구 59권, pp159~184
위영위영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조선 후기 지식인의 일본 인식 변화 -&lt;논어고금주&gt;를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