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 조기영어교육의 성공/실패사례와 관련한 논문

*세*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12.30
최종 저작일
2020.06
17페이지/워드파일 MS 워드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우리나라 조기영어교육에 학기말 제출 소논문으로 참고문헌 포함 총 17페이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조기교육이 성공적이었던/성공적이지 않았던 cases들을 논의하고 그 원인과 함의에 대해 논하였습니다.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Literature Review
1) Background Factors of Successful Early Learners
2) Background Factors of Unsuccessful Early Learners
3) The Current Situation of Early English Education in Korea
4) Discussion

4. Conclusion and Implication

5. References

본문내용

English has become a strong capital to achieve social and academic success for individuals in many non-English speaking countries, and South Korea is one of them. South Korean parents aggressively invest a massive amount of money and time in early English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to be ready for the future. In this context, there have been many debates on whether early English education is necessary and how it should be implemented. In this regard,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background factors of successful and unsuccessful early learners of English and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arly English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uccessful learners often learned English in ESL contexts, or in some cases of EFL where par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English education at home as well as showed a great interest in children’s education. On the other hand, unsuccessful learners learned English in other common EFL contexts..

<중 략>

참고 자료

강승지, 이연선. (2018). 우리나라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빅데이터와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2), 141-168.
권은영. (2019).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알아본 대중의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인식: 유튜브를 중심으로. 영어학, 19(4), 858–879.
김정오, 허만임, 김혜정. (2014).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학부모들의 인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1), 193-197
마송희. (2003). 유아의 영어교육경험, 상위언어능력, 모국어 및 영어어휘력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8(3), 253-272.
박영예. (2019). 초등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취업 학부모 면담에서 나타난 인식 및 태도. 교육논총, 39(3), 83-105.
서현아, 최미현, 좌승화, 천희영. (2003). 취학전후 영어교육 환경과 초등학교 3학년의 영어 유창성과의 관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4), 299-319.
염지숙. (2008). 유아들의 경험으로부터 본 조기유학의 빛과 그늘.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241-259.
우남희. (2002). 영유아에 대한 조기 영어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이귀옥, 우남희. (2008). 유아의 영어수준이 모국어 수준 및 영어경험과 상관이 있는가? 이중언어학, 38, 305-340
이근우. (2017, December 28). “유치원·어린이집도 방과후 영어수업 금지 검토”. KBS News.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587973&ref=A
이병민. (2018). 초등학교 저학년 및 입학 전 아동의 방과후 영어교육 폐지를 둘러싼 조기 영어교육 진단과 대안. 교육비평, 41, 10-49.
이승은, 조진현. (2019). 취학 전 영어교육경험이 우리나라 중학생의 영어성적과 영어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0(1), 493-508.
장진태. (2012). 홈스쿨링에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초등학교 학부모의 인식과 역할. 인문학연구, 44, 415-444.
최선희, 김세아, 박윤주. (2013). 거주 지역과 사교육 경험에 따른 중학교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 저하 요인 분석. 외국어교육연구, 27 (1), 233-260.
한유미, 조복희. (1999). 유아의 모국어 능력, 외국어 경험 정도와 상위언어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0(3), 199-215.
Ahn, S.-W. (2001). Is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 Relevant in the EFL Situation. Korea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1(4), 587–608.
Cepik, S., & Sarandi, H. (2012). Early and Late Language Start at Private Schools in Turkey. Educational Sciences: Theory & Practice, 3199–3209.
DeKeyser, R. M. (2000). The robustness of critical period effect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2(4), 499–533.
Goriot, C., McQueen, J. M., Unsworth, S., Hout, R. van, & Broersma, M. (2020). Perception of English phonetic contrasts by Dutch children: How bilingual are early-English learners? PLOS ONE, 15(3), 1-21.
Harper, S., Platt, A., & Pelletier, J. (2011). Unique Effects of a Family Literacy Program on the Early Reading Development of English Language Learners.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22(6), 989–1008.
Huang, B. H. (2015). A synthesis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linguistic outcomes of early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lingualism, 13(3), 257–273.
Johnson, J. S., & Newport, E. L. (1989). Critical period effect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The influence of maturational state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Cognitive Psychology, 21(1), 60–99.
Kim, H. (2012). Equity and efficiency of Koreans' English education investments. KDI Policy Forum, 245, 1-11.
Kitano, S. (2008).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in Japan: Policy and pedagogy. Asia-Pacific Journal of Research, 2(1), 3–17.
Lan, Y-C., Degotardi, S., & Torr, J. (2011). Factors related to the home teaching of English language to preschool aged children: a Taiwanese study. Asia-Pacific Journal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5(2), 27-48.
Lee. (1996).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 and the Acquisition of English Pronouns by Korean Speakers. English Education, 51(1), 83-96.
Moon. (2002). Early English education in Korea: With reference to CPH and bilingu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1(2), 75-98.
Paik, J. (2008). “Learning English, Imagining Global”: The Narratives of Early English Education Experiences in South Korea.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15(10), 71–78.
Song, B. & Kim, T. Y. (2017). The dynamics of demotivation and remotivation among Korean high school EFL students. System, 65, 90–103.
Wolf, S., Smit, N., & Lowie, W. (2017). Influences of early English language teaching on oral fluency. ELT Journal, 71(3), 341–353.
*세*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 조기영어교육의 성공/실패사례와 관련한 논문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