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원발성 알도스테론증(primary aldosteronism)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 case study report 대학원

*미*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10.30
최종 저작일
2017.11
4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Subject Data
1. Patient Profile
2. 주호소
3. 주호소 분석틀
4. 과거력
5. Social history
6. Review of System(ROS)

Ⅱ. Objective Data
1. Physical exam
2. Lab data
3. Radiologic finding 등 diagnostic test dat

Ⅲ. Assessment
1. 주 ․ 객관적 자료의 해석과 통합
2. 감별진단
3. 예상되는 문제 포함(합병증, 결과 등등)

Ⅳ. Plan
1. 합리적인 치료/간호계획

Ⅴ. Implementation

Ⅵ. Evaluation
1. 환자 문제 해결 여부

Ⅶ.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전략

본문내용

상환 기저질환 없던 환자로 금년 9월 말 자리에서 앉았다 일어나는데 어려움이 있을 정도로 상하지 힘이 빠지며 약간의 근육통 동반되어 타원(원자력병원) 신경과 진료 후 응급실로 refer 되어 시행한 검사 상 initial K 1.8로 hypokalemia에 대하여 w/u 하기 위하여 입원하였으며, CPK elevation, myalgia 동반되어 r/o rhabdomyolysis, r/o hyperkalemic paralysis로 입원치료 받은 바 있음(9/25-10/2). 이후 K-contin 복용 중이며, 당시 검사 상에서는 이상소견 없어 원인을 알 수 없다고 들어 second opinion 위해 내원함.

2. 주호소
“팔, 다리에 힘이 빠져서 원자력 병원에서 입원치료 받고 괜찮아졌는데 원인을 알 수 없다고 해서 다시 검사 좀 받아보려고 왔어요.”

3. 주호소 분석틀 - 증상이 나타났던 시점을 기준으로 사정함
1) oneset(suddenly or gradually)
이전에도 다리가 한번 힘들었다가 다음날 바로 풀린 적 있음. 9월 23일 저녁에 걷는 것은 괜찮았는데 갑자기 앉았다 일어나는 게 힘들어짐.

2) location / radiation
처음엔 다리에 힘이 빠져서 앉았다 일어나는 게 안 되고, 다음날 아침 침대에서 일어나는 게 안 되고, 그 다음엔 팔도 힘이 빠져 옷 갈아입는 게 힘들어짐.

3) duration / frequency
하루 이틀 쉬면 괜찮아질 것 같아서 기다려 보았으나 다리에 힘이 빠지고 팔까지 힘이 빠지면서 하루 반나절동안 증상이 점점 심해짐.

4) characteristics
움직임이 필요한 순간에 갑자기 팔, 다리에 힘이 빠지면서 힘을 주려해도 힘이 주어지지 않고 움직일 수 없음.

5) aggravating / relieving factors
오래 걷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별한 완화요인은 없음.

6) associated factors
간헐적으로 다리에 근육통 동반됨.

참고 자료

김승현, 노학재. (2002). 신경-근 접합부 질환에서의 전기생리검사.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지, 4(2), 171-188.
이동국. (1999). 신경전도검사의기초기술.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지, 1(2), 202-209.
식품의약품안전처 www.mfds.go.kr
Dawson DM, Potts F. (1991). Acute nontraumatic myelopathies. Neurol Clin, 9(3), 585-603.
Fontaine B. (2008). Periodic paralysis. Adv Genet, 63, 3-23.
Holland OB, Brown H, Kuhnert L, Fairchild C, Risk M, Gomez-Sanchez CE. (1984). Further evaluation of saline infusion for the diagnosis of primary aldosteronism. Hypertension, 6(5), 717-723.
John W. Funder, Robert M. Carey, Franco Mantero, M. Hassan Murad, Martin Reincke, Hirotaka Shibata, Michael Stowasser, and William F. Young, Jr (2016). The Management of Primary Aldosteronism: Case Detection, Diagnosis, and Treatment: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101(5), 1889–1916.
Liu T, Nagami GT, Everett ML, Levine BS. (2005). Very low calorie diets and hypokalaemia: the importance of ammonium excretion. Nephrol Dial Transplant, 20(3), 642-646.
Massey JM. (1997). Acquired myasthenia gravis. Neurol Clin, 15(3), 577-595.
Mattsson C, Young WF Jr. (2006). Primary aldosteronism: diagnostic and treatment strategies. Nat Clin Pract Nephrol, 2(4), 198-208.
Patterson JR, Grabois M. (1986). Locked-in syndrome: a review of 139 cases. Stroke, 17(4), 758-764.
Ribstein J, Du Cailar G, Fesler P, Mimran A. (2005). Relative glomerular hyperfiltration in primary aldosteronism. J Am Soc Nephrol., 16(5), 1320-1325.
Rosow LK, Amato AA. (2016). The Role of Electrodiagnostic Testing, Imaging, and Muscle Biopsy in the Investigation of Muscle Disease. Continuum (Minneap Minn), 22(6), 1787-1802.
Sawka AM, Young WF, Thompson GB, Grant CS, Farley DR, Leibson C, van Heerden JA. (2001). Primary aldosteronism: factors associated with normalization of blood pressure after surgery. Ann Intern Med., 135(4), 258-261.
Sebastian A, McSherry E, Morris RC Jr . (2010). On the mechanism of renal potassium wasting in renal tubular acidosis associated with the Fanconi syndrome (type 2 RTA). J Clin Invest., 50(1), 231-243.
Serdar O., Selcuk Y., Lacin T., Yasemin G.,, Tayfun G., and Ali T. (2013). Hypokalemia- induced myopathy and massive creatine kinase elevation as first manifestation of Conn's syndrome. Niger Med J., 54(4), 283–284.
Stryjewski TP, Papakostas TD, Vavvas D. (2016). Proliferative Hypertensive Retinopathy. JAMA Ophthalmol, 134(3), 345-346.
Stowasser M, Sharman J, Leano R, Gordon RD, Ward G, Cowley D, Marwick TH. (2005). Evidence for abnormal left ventricular structure and function in normotensive individuals with familial hyperaldosteronism type I. J Clin Endocrinol Metab., 90(9), 5070-5076.
Weisbrod AB, Webb RC, Mathur A, Barak S, Abraham SB, Nilubol N, Quezado M, Stratakis CA, Kebebew E. Adrenal histologic findings show no difference in clinical presentation and outcome in primary hyperaldosteronism. Ann Surg Oncol., 20(3), 753-758.
Willison HJ, Jacobs BC, van Doorn PA. (2016). Guillain-Barrésyndrome. Lancet, 388(1), 717-727.
Young WF (2007). Primary aldosteronism: renaissance of a syndrome. Clin Endocrinol (Oxf), 66(5), 607-618.
*미*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원발성 알도스테론증(primary aldosteronism)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 case study report 대학원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