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연구자료 288 (공기질 모니터링개발) 기상환경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개발

*오*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7.12.11
최종 저작일
2017.11
1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기상환경과 미세먼지 에어졸
2. 유기성 에어졸과 미세먼지
3. 미세먼지와 유기성 에 어졸의 측정
4. 유기성 에어졸 모니터의 측정기술
5. 유기성 에어졸 모니터의 농도분석
6. 기상환경 유기성 에어졸의 모니터링
7. 기상과 미기상 에어졸의 모니터링
8. 결론
9. 참고문헌
10.기술보문

본문내용

[요론]
GC-MS OAM 모니터는 기상환경 및 대기환경 오염현상과 오염원에 관한 가치 있는 각 종 정보를 1시간의 시간 간격으로 각종 유기화합물에 대한 데이터로 제공해 준다. 또한 GC-MS OAM 모니터는 실험실적 기자재보다도 더 높은 농도의 유기성 화합물을 측정 할 수 있게 해주고, 야전의 현지에서도 자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 기상환경과 대기환 경의 대류층 높이에 따른 유기성 에어졸 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대기오염과 그 오염원 을 특정할 수 있게 해주는 능력도 갖고 있다.
지구적으로 소형의 GC-MS OAM 모니터의 개발에서는 아직 전래적인 필터만 적용할 뿐 첨단적인 나노멤브레인(nano-membrane)을 필터 재료로 적용하는 연구는 하지 않고 있으므로, 우리나라에서 이미 확보하고 있는 나노막 기술을 한국적인 나노막 필터 개발 에 적용하는 하이터치 기술 개발은 한국의 기상전문 중소기업 연구소를 위한 적정한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기상환경 모니터링, 대기환경 모니터링, 공기질 모니터링, 유기성 에어졸, 무기성 에어졸, 레보글루코산, 만노산, 나노멤브레인]

1. 기상환경과 미세먼지 에어졸
지구 대기권의 대류권(troposphere)은 지표면에서 지상 11 km까지의 상부 공간으로 기상 환경과 미기상환경 및 대기환경이 공존하는 공간 환경이다. 대류권의 미기상환경의 미 분진(PM: particulate matter)은 지구기후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인류와 동식물 의 건강에도 심대한 위해성(risk)를 미치고 있다. 특히 기상환경 미분진의 10~90%는 유 기물질로 구성되는 유기성 에어졸(organic aerosol), 그 나머지의 무기물질로 구성되는 무 기성 에어졸(inorganic aerosol) 및 유・무기성 혼합 에어졸로 되어 있다.
기상환경과 미기상환경 및 대기환경 중에는 해양과 호수와 하천 등으로부터 대류권으로 피어오르는 물방울로서 수분이 부유하고, 지표면에서부터 날아오르는 무기성・유기성 분진과 흄(fume)에 의해 적지 않은 미분진도 부유하고 있다.

참고 자료

Polidori, A., et al., “Laboratory Evaluation of Low-cost Air Quality Sensors - Laboratory Setup and Testing Protocol”, Environ. Sci. Technol. 47, 2016, pp.11369~11377.
Sousan, S., et al., “Inter-comparison of low-cost sensors for measuring the mass concent -ration of occupational aerosols”, Aerosol. Sci. Technol., 50, 2016, pp.462~473.
Sousan, S., et al., “Evaluation of the alphasense optical particle counter and the grimm portable aerosol spectrometer”, Aerosol. Sci. Technol., 50, 2016, pp.1352~1365.
Deville Cavellin, et al., 2016. “Investigating the use of portable air pollution sensors to capture the spatial variability of traffic-related air pollution”, Environ. Sci. Technol., 50, 2016, pp.313~320.
Van den Bossche, J., et al., “Mobile monitoring for mapping spatial variation in urban air qualit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thodology based on an extensive dataset”, Atmos. Environ. 105, 2015, pp.148~161.
Mannucci, P.M., et al., “Effects on health of air pollution: a narrative review”, Intern. Emerg. Med., 10(6), 2015, pp.657~662.
Cropper, P.M., et al., “A compact gas chromatograph and pre-column concentration system for enhanced in-field separation of levoglucosan and other polar organic compounds”, J. Chromatogr., A1417, 2015, pp.73~78.
Williams, B.J., et al., “The first combined thermal desorption aerosol gas chromatograph -aerosol mass spectrometer(TAG-AMS), Aerosol Sci. Technol., 48(4), 2014, pp.358~370.
Fiore, A.M., et al., “Global air quality and climate”, Chem. Soc. Rev., 41(19), 2012, pp.6663~6683. [10] Lee, S.H., Allen, H.C., “Analytical measurements of atmospheric urban aerosol”, Anal. Chem., 84(3), 2012, pp.1196~1201.
Shrivastava, A., Gupta, V.B.,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limit of detection and limit of quantitation of the analytical methods”, Chronicles Young Sci., 2(1), 2011, pp.21~25.
Bruns, E.A., et al., “Atmospheric solids analysis probe mass spectrometry: a new approach for airborne particle analysis”, Anal. Chem., 82(14), 2010, pp.5922~5927.
Lin, L., et al., “Review of recent advances in detection of organic markers in fine particulate matter and their use for source apportionment”, J. Air & Waste Manag. Assoc. 60(1), 2010, pp.3~25.
Williams, B.J., et al., “Major components of atmospheric organic aerosol in southern California as determined by hourly measurements of source marker compounds”, Atmos. Chem. Phys., 10(23), 2010, pp.11577~11603.
Bari, M.A., et al., “Wood smoke as a source of particle-phase organic compounds in residential areas”, Atmos. Environ., 43(31), 2009, pp.4722~4732.
Iinuma, Y., et al., “A highly resolved anionexchange chromatograph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accharidic tracers for biomass combustion and primary bio-particles in atmo -spheric aerosol”, Atmos Environ., 43(6), 2009, pp.1367~1371.
Austin, D.E., et al., “Halo ion trap mass spectrometer” Anal. Chem., 79(7), 2007, pp.2927~2932.
Lin, L., et al.,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organic marker compounds in fine particulate matter using solid-phase microextraction”, J. Air & Waste Manag. Assoc. 57(1), 2007, pp.53~58.
Wilson, W.E., et al., “The measurement of fine-particulate semivolatile material in urban aerosols”, J. Air & Waste Manag. Assoc., 56(4), 2006, pp.384~397.
Schkolnik, G., Rudich, Y.,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levoglucosan in atmospheric aerosols: a review”, Anal. Bioanal. Chem., 385(1), 2006, pp.26~33.
Lammert, S.A., et al., “Miniature toroidal radio frequency ion trap mass analyzer”, J. Am. Soc. Mass Spectrom., 17(7), 2006, pp.916~922.
Engling, G., et al., “Determination of levoglucosan in biomass combustion aerosol by high-performance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with pulsed amperometric detection”, Atmos. Environ., 40, 2006, pp.299~311.
Williams, B.J., et al., “An in-situ instrument for speciated organic composition of atmospheric aerosols: thermal Desorption Aerosol GC/MS-FID(TAG)”, Aerosol Sci. Technol.., 40(8), 2006, pp.627~638.
Long, R.W., et al., “One- and three hour PM-2.5 characterization, speciation, and source apportionment using continuous and integrated samplers”, Aerosol Sci. Technol., 39(3), 2005, pp.238~248.
Eatough, D.J., et al., “Semi-volatile secondary organic aerosol in urban atmospheres: meeting a measurement challenge”, Atmos. Environ., 37(9/10), 2003, pp.1277~1292.
Falkovich, A.H., Rudich, Y., “Analysis of 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tmospheric aerosols by direct sample introduction thermal desorption GC/MS”, Environ. Sci. Technol., 35(11), 2001, pp.2326~2333.
Smith, R.L., et al., “Regression models for air pollution and daily mortality: analysis of data from Birmingham, Alabama”, Environmetrics, 11(6), 2000, pp.719~743
Turpin, B.J., et al., “Measuring and simulating particulate organics in the atmosphere: problems and prospects”, Atmos. Environ., 34(18), 2000, pp.2983~3013.
Paul M. Cropper et al., “Development of the GC-MS organic aerosol monitor (GC-MS OAM) for in-field detection of particulate organic compounds”, Atmospheric Environment, 169, 2017, pp.258~266.
*오*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연구자료 288 (공기질 모니터링개발) 기상환경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개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