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 제주 연안의 암반 형태 차이와 저서생물 군집구조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5
최종 저작일
2016.12
13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30권 / 6호
저자명 : 김보연, 고준철, 최한길

목차

서 론
연구방법
1. 해양환경조사
2. 저서생물 채집 및 분석
3. 군집지수
결 과
1. 해양환경특성
2. 해조류
3. 무척추동물
고 찰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제주 연안 저서생물(해조류,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가 저서 기질 형태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신흥해역에서 2015년 2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조사되었다. 암반정점에서는 해조류 57종과 무척추동물 102종이 출현하였고, 몽돌정점 에서는 해조류 42종과 무척추동물 67종이 관찰되어 암반기질에서 저서생물의 출현종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조 류의 연평균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1,601.13 g wet wt./㎡으로 몽돌정점의 448.85 g wet wt./㎡보다 약 4배 높았다. 감태는 암반정점에서 전체 생물량의 62.64% (1,002.93 g/㎡)를 차지하는 우점종이었고, 몽돌정점에서는 넓은게발, 감태, 붉은뼈까막살, 자루바다표고, 갈래곰보가 우점하였다. 저서무척추동물의 개체수 및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각각 106.9 indivi./㎡, 871.93 g/㎡이며, 몽돌정점에서는 64.6 indivi./㎡, 984.28 g/㎡로 나타났다. 무척추동물의 생물량 우점종을 파악한 결과, 암반정점에서는 소라(36.40%), 바퀴고둥(19.18%), 보라성게(13.61%)였고, 몽돌정점에서는 거 품돌산호(54.13%)와 그물코돌산호(24.28%)로 기질에 따른 우점종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영어 초록

Effects of substrate types (bedrock and boulder habitat) on the community structures of benthic biota (macroalgae, macrobenthos) were monthly examined at Sinheung in Jeju Island, Korea, from Feb. to Nov. 2015. Species diversity of seaweeds and macrobenthos was greater at bedrock sites with 57 and 102 species than at boulder sites having 42 seaweeds and 67 macrobenthos. Average annual biomass of seaweeds was 1,601.13 g wet wt./㎡at bedrock site and 448.85 g wet wt./㎡at boulder site. Ecklonia cava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occupying 62.64% (1,002.93 g/㎡)of total biomass at bedrock. Amphiroa anceps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and subdominant species was Ecklonia cava, Grateloupia angusta, Peyssonnelia capensis and Meristotheca papulosa at boulder site. Density and biomass of macrobenthos were estimated to be 106.9 indivi./㎡and 871.93 g/㎡, respectively at bedrock site and they were 64.6 indivi./㎡ and 984.28 g/㎡at boulder site. The dominant macrobenthos species based on biomass were Turbo comutus (36.40%), Astralium haematragum (19.18%) and Anthocidaria crassispina (13.61%) at bedrock site and they were Alveopora japonica (54.13%) and Psammocora profundacella (24.28%) at boulder sit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 제주 연안의 암반 형태 차이와 저서생물 군집구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