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경찰활동 수준에 대한 인식이 비공식적 사회통제에 미치는 영향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5
최종 저작일
2016.12
3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7,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수록지정보 : 한국사회연구 / 19권
저자명 : 이재경, 정만성, 장초록, 장현석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1. 이론적 배경
2. 선행연구 검토
Ⅲ.연구모델의 구성 및 연구방법
1. 연구모델
2. 자료측정
Ⅳ. 분석결과
1. 기술통계
2. 상관분석
3.다중회귀분석
Ⅴ.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경찰의 가시성과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사회통제와 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집합효율성 이론에 의하면 주민들의 응집력이나 결합력, 그리고 비공식적 사회통제가 강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범죄율을 보인다고 하였다. 따라서 비공식적 사 회통제를 향상시키면 지역사회 범죄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에서 주민들 사이의 유대, 신뢰, 집합적 효율성이 높을 때 경찰에 대한 신뢰 또는 만족도 또한 높 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따라서 주민들 간의 비공식적 사회통제 역량강화에 경찰의 활동이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설을 도출할 수 있다. 공식적 사회통제를 담당하는 경찰의 가시적 활동이 비 공식적 사회통제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조사하였 다.
이 연구의 데이터는 2012년 형사정책연구원에서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서 실시한“지역사회 범죄위험에 관한 조사”를 활용 하였다. 종속변수로 비공식적 사회통제를 사용하였고, 여기에 영 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인 경찰활동 인식은 경찰의 가시성을 사용 하였다. 통제변수로 응답자의 연령, 성별, 수입, 학력, 거주형태, 거주기간, 사회적 무질서, 물리적 무질서를 투입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인 경찰의 활동인식은 비공식적 사회통제와 정적(+)인 관계를 나타났다. 통제변수로 사 용된 변수 중에서는 사회적 무질서와 성별, 거주기간은 부적(-) 인 관계를 보였으며, 연령은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에서 비공식적 사회통제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한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olice visibility and informal social control. Collective Efficacy Theory claims that high cohesive community and high informal social control areas show low crime rate. So, increased informal social control will help solve the community crime problems. Also, confidence in the police studies show high bond, trust, and collective efficacy of community increases confidence in the police and satisfaction of the police. From these study results, this study developed an idea of formal social control such as police visibility on the formation of informal social control.
The data used was 2012 Community Risk of Crime Survey conducted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Police visibility was used as independent variable and gender, age, income, education, residential type, residence period, social disorder, and physical disorder as control variables to conduct 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olice visibility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formal social control when gender, social disorder, and residence period has negative relationship and age has positive relationship.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political proposals on how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informal social control in community.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경찰활동 수준에 대한 인식이 비공식적 사회통제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