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체육대학생 졸업논문)대학생 1인 가구의 운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두부웅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9.06.18
최종 저작일
2019.01
2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문제
4.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1인 가구
2. 삶의 만족도
3. 우울감
4. 운동 참여와 삶의 만족도
5. 운동 참여와 우울감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및 운동 참여여부에 따른 차이검증
2.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Ⅴ. 결론 및 논의

본문내용

현재 우리나라의 1인 가구는 전 연령대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 같 은 1인 가구 중심으로의 가구형태 변화는 우리나라만의 트렌드가 아닌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1980년대에 이미 전 세계 1인 가구의 비중은 20~30%에 달한바 있다(변미 리, 2015). 또한, 지역별 1인 가구 비중은 서울 21.4%, 경기 19.7%, 부산 7.0% 순 으로 수도권 및 광역시 거주 비중이 높았다. 통계청 인구 총 조사(2015)에 따르면 1 인 가구 521만 명 중 20대 18.2%로 수도권 및 광역시의 20대 1인 가구 비중은 이 보다 더 높을 것으로 본다. 2016년 1인 가구의 비중은 전체 가구의 27.8%로 나타났 으며 2045년에는 36.3%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통계청, 2015)된다. 이러한 1인 가구의 증가로 선진국들에서는 1980년대부터 초기연구로 1인 가구 증 가라는 새로운 현상에 주목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사회학 적 관점에서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망 분절에서 오는 사회적 고립과 분리, 소외, 고 독감 등에 대한 문제점을 집중 조명하고 사회 정책적 함의를 부각시키는 차원의 논 의들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Banks, Haynes & Hill, 2009; Hall & Ogden, 2003).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1인 가구 현 상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를 진행해오고 있다. 여러 학문분야에서는 매우 활발하게 연 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체육학계에서는 아직까지 1인 가구와 관련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지 못하고 있다.물론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생활체육참여 활동과 삶 의 질 향상 등에 대한 연구와 노인체육 진흥 정책에 관한 연 구 등이 활발히 진행되어 오긴 했지만, 이는 1인 가구의 여러 형성요인 중 하나에만 초점을 맞춘 단편적인 접근이었다고 이해된다

참고 자료

강은택, 강정구, 마강래 (2016). 1인 가구의 주관적 삶의 만족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연구, 27(1), 3-23. 고숙자 (2011). 한국의료패널로 본 경제활동 상태 및 소득계층에 따른 의료이용과 의 료비: 우울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2, 24-31. 김동규 (2002). 노인의 종교 및 사회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김성일 (2001). 청소년의 우울성향과 가정환경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2(1), 5-29 김연수 (2014). 신체활동과 정신건강. Hanyang Med Rev. 34(2), 60-65. 김지연, 김창엽 (2014). 통합력(Sense of Coherence)과 자살생각, 사회적 지지의 연관성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36, 77-102. 권현석 (2010). 직장인의 스포츠 활동참여가 삶의 질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 행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선미, 한미아, 박종, 류소연, 최성우, 신환호, 주미현 (2016). 흡연 및 음주와 우울증상 경험과의 관련성: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16(2), 111-118. 박지원 (2008). 중년 남성의 댄스스포츠 참여를 통한 자아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변미리, 신상영, 조권중, 박민진 (2008). 서울의 1인가구 증가와 도시정책 수요연구. 서 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 1-213. 손석정 (2013).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1(3), 21-36. 양옥경 (1992). 정신장애자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제 20호. 오세국 (2007). 레저스포츠 참여 동기 및 몰입과 삶의 만족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목원대학교 대학원. 오창석 (2012).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인식과 삶의 질이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 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2), 179-191.
이명진, 최유정, 이상수 (2014). 1인 가구의 현황과 사회적 함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2
사회과학연구, 27(1), 229-253. 이은석 (2009). 정체형 농촌지역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체조 참가와 건강증진행위의 관 계에서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8(1), 683-697. 이정은, 유지영 (2017).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군에 대한 메타분석. 한 국노년학, 37(3), 601-616. 이중섭 (2009). 빈곤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거 버넌스학회보, 16(1), 79-105. 임강영, 한광령 (2010).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체육활동 참여에 대한 의 미형성 과정.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3(4), 107-128.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 - 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조강옥 (2014). 독거노인의 신체활동 수준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 한국체육학 회지, 53(1), 409-417. 주석범, 정철규 (2011). 델파이 분석을 통한 고령자들의 여가스포츠 활성화 전망. 한국 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5(1), 29-40. 주성용 (2007). 댄스스포츠 참여가 중년기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최성재 (1986).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연구원논총, 49, 233-258. 최혜경 (1985).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 가족부양체계를 중심으로 한 인과모형의 검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최활천 (2003). 직장인의 생활체육참가가 여가만족,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 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 (2015). 인구 총 조사 Arslantas, D., Ünsal, A., & Ozbabalık, D. (2014).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the elderly in middle Anatolia, Turkey. Geriatircs and Gerontology International, 14(1), 100-108. Banks, L., Haynes, P. & Hill, M. (2009). Living in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the risk of isolation in later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Later Life, 4
- 3
(1), 55-86. Chou, K. L., Ho, A. H., & Chi, I. (2006). Living alone and depression in Chinese older adults. Aging & Mental Health, 10(6), 583–591.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 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Hall, R. & Ogden, P. (2003). The rise of living alone in inner London trends among the population of working age. Environment and Planning A, 35(5), 871-888. Hall, R., Ogden, P. & Hill, C. (1997). The pattern and structure of one-person households in England Wales and French. International Journal of Population Geography, 3(2), 161-181. Harwood, D., ,Hawton, K., Hope, T., & Jacoby, R. (2001). Psychiatric disorder and personality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e in older people: A descriptive and case-contro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6(2), 155-165. Hawton, K., Comabella, C. C., Haw, C., & Saunders, K. (2013). Risk factors for suicide in individuals with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147(1-3), 17-28. Kaufman, J., (1994). One person households in Europe. Population, 49(4-5), 935-958.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 134-143 Pan, A., Sun, Q., Okereke, O. I., Rexrode, K. M., & Hu, F. B. (2011). Depression and risk of stroke morbidity and mortality: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6(11), 1241-1249.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es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Veenhoven, R.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1), 1-34. Young, K. J., & Longman, A. J. (1983). Quality of Life and Persons with Melanoma ; A Pilot Study. Cancer Nursing, 6(3), 219-225. Wilhelm, K., Mitchell, P., Slade, T., Brownhill, S., & Andrews. G. (2003). Prevalence
- 4
and correlates of DSM-IV major depression in an Australian national survey. Journal of Affectective Disorders, 75(2), 155-162. Witte, J., & Lahmann. H. (1988).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one-person households in the United States and West Germany. Sociology and Social Research, 73(1), 31-42 Lawlor, D. A., & Hopker, S. W. (2001).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as an intervention in the management of depress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British Medical Journal, 322, 763-766. Craft, L. L., & Landers, D. M. (1998). The effects of exercise on clinical depression and depression resulting from mental illness: A meta-analysis.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0(4), 339-357. Fremont, J., & Craighead, L. W. (1987). Aerobic exercise and cognitive therapy in the treatment of dysphoria mood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1(2), 241-251.
Babyak, M., Blumenthal, J. A., Herman, S., Khatri, P., Doraiswamy, M., Moore, K., Craighead, W. E., Baldewicz, T. T., & Krishnan, K. R. (2000). Exercise treatment for major depression: Maintenance of therapeutic benefit at 10 months. Psychosomatic Medicine, 62(5), 633-638.
두부웅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체육대학생 졸업논문)대학생 1인 가구의 운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