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유아 권리 및 학대에 대한 인식 연구 - 일반가정과 취약가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6.07.11
최종 저작일
2016.01
1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8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아동권리학회 수록지정보 : 아동과권리 / 20권 / 2호
저자명 : 조명자, 이서영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 조손가정,
수급자가정을 포함한 취약가정과 이러한 취약가정이 아닌 일반가정을 대상으로
영유아 권리 및 학대에 대한 인식과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영유아 권리 및 영유아 학대에 대한 인식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
해서 S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을 국공립어린이집, 법인 및 직장어린이집, 민간어린
이집, 가정어린이집 어머니를 설립유형별로 표집하였고 이들 중 한부모가정, 다문
화가정, 조손가정, 수급자가정을 포함한 취약가정이 44명이고 일반가정이 157명으
로 총 201명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 어머니는 영유아 학대 중 방임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았으므로 방임의 정확한 개념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요구되
며, 긍정적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영유아의 권리인식과 학대인식을 포함한 아동
복지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취약가정 어머니는 일반가
정 어머니에 비해 영유아 권리의 모든 영역과 전체 그리고 정서 학대에서 낮은
인식을 보였으므로 취약가정을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이를 고려
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of the awareness of early children's rights and
early children abuse, and it examined the difference of awareness among parents. In
fact, the study targeted vulnerable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that consisted of
mothers who were single parents of early children(mother), including multi-cultural
families, basic living benefiters and children living with their grandparents.
In order to resolve the correlation and the difference awareness of parenting
behavior and the rights and abuse of early children, a sample was taken of various
types of nurseries: public child-care centers, corporate and workplace child care
centers, private day care institutions, and family day-care parents(mother) located in
S city. The sampling was composed of a total of 201, -157 people of general families
and 44 people of multi-cultural families, basic living benefiters and children living
with their grandparents.
According to this study, mothers had the lowest level of awareness of the neglect
of early children abuse. Mothers need to understand and be aware of the correct
conception. It was confirmed that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were related with a
critical impact on early children's welfare level, including the parenting behaviors of
mothers and their awareness of early children's rights and abuse awareness and
perception of early children. Mothers of vulnerable families were found to have an
extremely low level of awareness of the rights and abuse of early children and
recognized by the whole emotional abuse of child. Thi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vulnerable families are being develope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유아 권리 및 학대에 대한 인식 연구 - 일반가정과 취약가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