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지체장애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3.01
3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1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저자명 : 이달엽

목차

1. 서 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국문초록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 지체장애근로자들의 직업성공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들 요인이 직업성공과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조사하여 가설적 이론모형을 검증하려는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지체장애를 가진 근로자 374명과 일반근로자 46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장애근로자와 일반근로자의 직업성공을 구성하는 요인은 개인, 가정, 조직의 측면에서 나타났다. 개인적인 측면은 자아존중감과 자아효능감으로 구성되었고, 가족적인 측면은 다중역할스트레스와 자녀의 수로 구성되었다. 조직적인 측면은 자원활용능력, 네트워킹, 그리고 조언자로 구성되었다. 이 밖에도 주관적인 직업성공과 객관적인 직업성공이라는 잠재변수에서 총 10개의 측정변수가 도출되었다.
둘째, 장애근로자와 일반근로자 집단 모두 직종이 직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측변수에서는 두 집단에서 직업성공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서로 다르게 나왔다. 장애근로자집단은 이직을 했을 때 평균적으로 근속한 년수와 임금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관측변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집단은 조언자와 근속년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관측변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장애근로자와 일반근로자 집단 모두 연령과 이직 경험이 이직 (이직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집단은 친구의 수, 일반집단은 직업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이 각각 이직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두 집단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관측변수에서도 장애집단은 배우자의 직업과 근속년수, 일반집단은 다중역할 스트레스와 이직평균 근무년수에서 각기 다르게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적 경로모형을 검증한 결과 제 1모형은 어느 정도 타당하고 직업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 2모형은 카이스퀘어와 자유도 (X²= 64.950, df=61,P=0.341), 기초부합치 (AGFI)는 .964, 비교적합지수 (CFI)는 .997, 그리고 원소간의 평균차이 (RMR)도 .038로써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모두 허용된 범위 안에 있기 때문에 매우 적합한 모형으로 직업성공을 보다 높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직종이 두 집단 모두에서 직업성공을 예측하는데 주요한 변수로 나타나 장애근로자들의 학력을 높이고 계속해서 전문화 교육에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임금정도와 같은 객관적인 직업성공 보다는 임금과 진급에서의 만족과 같은 주관적인 직업성공에 더욱 더 많은 고려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장애근로자의 이직을 줄이기 위해서는 직장 내에서 유용한 인적 자원과 네트웍의 수를 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은 장애집단이 일반집단보다 대인관계에 대해서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 초록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career success among regular workers. The current researcher scrutinized the degree to which variables and factors affect the career success and occupational turnover rat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t the same time, two hypothetical path models established by the researcher were examined using linear multiple regression methods and the LISREL.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s among the factors of career success,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disabled worker group and the non-disabled worker group.
A questionnaire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was distributed to a group of 374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463 workers without disabilities. For the data analysis purpos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howed important categories of conceptual themes of career success. The initial conceptual factor model did not accord with the empirical one. A three-factorial model revealed categories of personal, family, and organizational factor respectively. The personal factor was composed of the self-esteem and self-efficiency. The family factor was consisted of the multi-roles stress and the number of children. Finally, the organizational factor was composed of the capacity for utilizing resources, networking, and the frequency of mentoring. In addition, the total 10 sub areas of career success were divided by two important aspects;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he objective career success.
Second, both research participant groups seemed to be influenced by their occupational types. However, all predictive variables excluding the wage rate and the average length of work years had significant impact on job success for the disabled work group, while all the variables excluding the frequency of advice and length of working years had significant impact on job success for the non-disabled worker group.
Third, the turnover rat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age and the experience of turnover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However, the number of co-workers was the strongest predictive variable for the worker group with disabilities, but the occupation choice variable for the worker group without disabilities. For the disabled worker group, the turnover rate was differently influenced by the type of occupation, the length of working years, while multi-role stress and the average working years at the time of turnover for the worker group without disabilities.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the career success for the disabled worker group and for the non-disable worker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turnover rate.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tical path model, it showed that the first model was somewhat proper and could predict the career success on both research participant groups. In the second model, the Chi-square, the degree of freedom ((X²=64.950, df=61,P=0.341), and the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 (AGFI) were .964, and the Comparative Fit Index (CFI) were .997, and the Root Mean Squared Residual (RMR) was respectively .038. The model was best fitted and could predict the career success more highly because the goodness of fit index in the whole models was within the allowed range.
In conclusion, the following research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the occupational type of research participants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the career success for both research participant groups. It means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require human development services including education. They need to improve themselves in this knowledge-based society.
Furthermore, for maintaining the career success,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approached by considering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aspects including wages and the promotion opportunities than the objective career success aspect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지체장애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