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하계 새만금 갯벌의 수질 분포 및 지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4.01
15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4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습지학회지 / 6권 / 1호
저자명 : 박경수, 박승윤, 이삼근, 이윤

목차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감사의글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전북 군산 및 부안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새만금간척공사 수역과 그 주변 해역의 수질 및 저질 분포 특성을구명하기 위하여 2001년 9월에 총 101개 퇴적물 시료와 69개의 해수 시료를 채취, 분석하였다. 주요 수질 항목별 평균 및 표준편차는 수온 25.51±0.68℃, 염분 29.88±5.01psu, COD 1.40±0.78 mg/L, 용존무기질소 (DIN)0.352±0.417 mg/L, 그리고 인산인 0.027±0.023 mg/L 이었다. 영양염류 및 COD는 동진강 및 만경강 하구에서매우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곰소만과 새만금 입구 수역은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 COD, 영양염류 농도 및 N/P 등은 염분과 유의적 역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대부분의 오염 물질이 육상 기원임을 시사하였다. 주성분 분석에 의한 수질 분포 역시 새만금 수역으로 유입되는 지류에서 높은 영양염류 및 유기물 농도를 보여 타 수역에 비하여 수질오염도가 높았다. 퇴적물의 경우 주요 중금속류 및 일반저질항목별 농도는 알루미늄 2.28±0.92%, 카드뮴 0.61±0.27 ppm, 구리 8.95±4.06 ppm, 철 1.19±0.37%, 망간 182.31±77.45 ppm, 니켈 10.83±4.97 ppm, 납 15.20±4.35 ppm, 아연 41.34±34.62 ppm, COD 2.68±1.85 mg/g dry, AVS 0.04±0.08 mg/g dry, 강열감량 1.29±1.08%, 함수율 24.11±4.49%, 총질소 0.02±0.02% 그리고 총탄소 0.22±0.30% 이었다. 저질의 공간 분포 특성은 수질처럼 명확하지는 않았으나, 금강하구 수역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저질 항목별 상관관계는 중금속과 유기물함량 간에 유의적 관계가 있었으며 (p<0.05), 퇴적물내의 농축비 (enrichment factor)가 대부분 수역에서 1-2의 범위를 보여 중금속의 외부 유입이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퇴적물 내의 중금속 농도 역시 일반적인 해양 퇴적물에서 검출되는 범위 이내로 새만금 및 주변 수역의 저질 상태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 초록

Environmental quality(water and sediment) was analyzed in the tidal flat of Saemangum of
Jeonbuk Province, the west coast of Korea, using the 101 sediment samples and 69 water samples
collected in September 4~13, 2001. Major water quality parameters with the means of 69 surface
water samples are as follows; 25.51±0.68 ℃ for water temperature, 29.88±5.01 for salinity, 1.40±
0.78mg/L for COD, 0.352±0.417mg/L for DIN, and 0.027±0.023mg/L for phosphate, respectively.
Higher values were found at the subestuary of Dongjin and Mangyung River, and lower values at
the Saemangum embayment and Gomso Bay.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alinity and the other water quality parameters(p<0.0001) such as COD, nutrients, SS and N/P. This
correlation suggested that the major pollution sources be from terrestrial inputs through tributaries
in this are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learly revealed a spati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stations with higher values of nutrients and COD located subestuary of tributaries. 14 sediment
quality parameters including 8 trace metals were measured using the 101 surface sediment samples.
Average values for the parameters are as follows; Al 2.28±0.92%, Cd 0.61±0.27 ppm, Cu 8.95±4.06
ppm, Fe 1.19±0.37%, Mn 182.31±77.45 ppm, Ni 10.83±4.97 ppm, Pb 15.20±4.35 ppm, Zn 41.34±
34.62 ppm, COD 2.68±1.85 mg/g dry, AVS 0.04±0.08 mg/g dry, IL 1.29±1.08%, water content 24.11
±4.49%, TN 0.02±0.02%, TC 0.22±0.30%. Spatial variations of sediment quality were not clear as
water quality. Some higher values were found at the subestuary of Gum River and lower values at
the other area.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and organic materials within the sediment(p<0.05). Enrichment factors showed the ranges of 1~2
for most of the metals in the sediment except zinc(1~6), indicating no serious exogenous input of
heavy metals in the study area. Also,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sediment were within
the ranges found at the natural marine environment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하계 새만금 갯벌의 수질 분포 및 지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