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연명의료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찬*
최초 등록일
2015.09.04
최종 저작일
2014.11
12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
1. 연명의료에 대한 이해
1.1. ‘연명의료’ 용어의 이해
1.1.1. 사전적 정의
1.1.2. 법률적 정의
1.1.3. 의학적 정의
1.2. 연명의료에 대한 인식 및 현황
1.2.1. 국내
1.2.2. 해외
2. 연명의료논란에 대한 가장 최근의 사례들
2.1 국내
2.1.1. 보라매병원 사건
2.1.2. 김할머니 사건
2.2. 해외
2.2.1. Terry Schiavo 사건
2.2.2. Jahi McMath 사건
3.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 , ‘연명의료중단’과의 구분의 필요성
3.1. 안락사
3.1.1. 안락사의 정의
3.1.2. 안락사의 분류
3.1.2.1. 시술방법에 따른 분류
3.1.2.1.1. 적극적 안락사(Killing)
3.1.2.1.2. 소극적 안락사(Letting die)
3.1.2.2. 환자의 의지에 따른 분류
3.1.2.2.1. 자의적 안락사(Voluntary Euthanasia)
3.1.2.2.2. 비자의적 안락사(Nonvoluntary Euthanasia)
3.1.2.2.3. 반자의적 안락사(Involuntary Euthanasia)
3.1.3. 안락사의 정당성 주장에 있어서의 배경이 되는 근거들
3.1.3.1. 공리주의(Utilitarianism)
3.1.3.2. 행위 공리주의(Act-Utilitarianism)
3.1.3.3. 규칙 공리주의(Rule-Utilitarianism)
3.1.3.4. 선호공리주의(Preference Utilitarianism)
3.1.3.5. 칸트의 윤리
3.1.3.5.1. 정언명법
3.1.3.5.2. 의무
3.1.3.5.3. 의료영역에서의 칸트의 윤리
3.1.3.6. 로스의 윤리론
3.1.3.6.1. 도덕적 특성과 규칙들
3.1.3.6.2. 실제적 의무와 조건부적 의무
3.1.3.7.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론
3.1.3.7.1. 공리주의에 입각한 이익평등고려원칙과 선호공리주의
3.1.3.7.2. 진화론의 지지와 창조론의 거부에 입각한 새로운 인격체 개념
3.1.3.7.3.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의 결과로서의 새로운 윤리계명들
3.1.4. 윤리론들의 문제점
3.1.4.1. 행위공리주의의 문제점
3.1.4.2. 규칙공리주의의 문제점
3.1.4.3. 선호공리주의의 문제점
3.1.4.4. 칸트의 윤리의 어려운 문제들
3.1.4.5. 로스의 윤리론에 대한 비판
3.1.4.6.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론에 대한 문제점
3.1.4.6.1. 이익평등고려원칙의 문제점
3.1.4.6.2. 진화론에 입각한 새로운 인격체 개념의 문제점
3.1.4.6.3.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의 결과로서의 새로운 윤리계명들의 한계점
3.2. 의사조력자살(Physician-Assited Suicide)
3.3. 연명의료중단이란 무엇인가
4. 연명의료중단결정의 대상들의 특징
4.1. 죽음의 판정
4.2. 죽음의 판정을 위한 구분
4.2.1. 말기환자
4.2.2. 임종과정환자
4.2.3. 식물인간
4.2.3.1. 식물인간의 정의
4.2.3.1.1. 교황청 생명학술원의 식물인간에 대한 정의
4.2.3.2. 식물인간의 진단
4.2.3.2.1. 신경병리학적 연구를 통한 식물인간 진단
4.2.3.2.2. 의료 장비를 활용한 신경촬영법을 통한 식물인간 진단
4.2.3.2.3. PET 장비를 활용한 식물인간의 진단
4.2.3.2.4. 신경생리학적 증거를 통한 식물인간의 진단
4.2.4. 뇌사
4.2.5. 식물인간과 뇌사의 비교
5. 연명의료의 판단에 있어 고려되는 요소들
5.1. 생명윤리의 네 가지 원칙
5.1.1. 자율성존중의 원칙
5.1.2. 악행금지의 원칙
5.1.3. 선행의 원칙
5.1.4. 정의의 원칙
5.2. 연명의료계획서
5.2.1. 연명의료계획서의 필요성 및 개념
5.2.2. 연명의료계획서의 유형
5.2.2.1. 대표적 유형으로서의 사전의료의향서
6. 연명의료의 판단에 있어 고려되는 요소들의 한계점 및 대안
6.1. 의학적 진단을 통한 판단의 문제점
6.2. 생명윤리의 네 가지 원칙의 한계점
6.3. 사전의료의향서의 한계점
6.4. 연명의료판단에 대한 대안책 모색과 이에 대한 논란
6.4.1. 연명의료판단에 대한 대안책
6.4.1.1. 연명의료계획서(POLST)
6.4.1.2. 연명의료의 제도화 추진
6.4.1.2.1. 연명의료 제도화추진에 대한 논란
7. 연명의료와 연관되는 논란들에 있어서의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
7.1. 안락사 및 의사조력자살에 관한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
7.1.1. 교황청 문헌
7.2. 연명의료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7.2.1. 교황청 신앙교리성의 해설
7.2.2. 의료인 헌장
7.2.3. 생명의 복음
7.2.4. 가톨릭 교회의 연명의료의 판단에 기본이 되는 생명 윤리적 가르침
7.2.4.1. 생명의 그리스도교적 의미
7.2.4.2. 인간 생명의 거룩함
7.2.4.3. 인간의 자유와 양심
7.2.4.4. 죽음의 그리스도교적 의미
7.2.4.5. 고통의 그리스도교적 의미
7.2.4.6. 치료 방법

Ⅱ. 결론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현대의학의 발전은 사람들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있으며, 수많은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데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이와 맞물려서 사람들의 공통적인 관심사 역시도 육신의 건강함을 비롯한 생명유지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란 사람들의 기대에 부응하듯이 오늘날에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곧 사람들의 삶의 질의 향상을 가져 올 것이라는 기대감을 증폭시키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난치병 혹은 불치병이라고 알려져 있던 수많은 질병들에 대한 정복의 부푼 꿈을 안고 하나 하나씩 해결해 나아가는 모습들이 이미 수많은 임상결과와 매체를 통하여 나타나고 있다. 그렇지만 그러한 오늘날의 현대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죽음이라는 인간에게 있어서 피할 수 없는 종말적인 특성은 인간 본성의 커다란 약점이자 극복 불가능한 본질이라는 점은 어느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그러한 죽음을 직접적으로 대면하고 있는 삶의 말기의 환자들에게 있어서 그러한 것이다. 그들에게 있어서 죽음의 존재는 반드시 피하고 싶은 대상이며 막연한 두려움의 대상이자 도저히 극복할 수 없는 대상으로 다가오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필연적으로는 삶의 말기에 처해있는 환자들에게 윤리적인 문제점이 비화된다는 점이다.

<중 략>

3.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 ‘연명의료중단’과의 구분의 필요성
앞서 살펴본 연명의료에 관한 정의와 안락사라는 용어 및 개념 그리고 목적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연적으로 요청이 된다. 이에 따라서 안락사와 연명의료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먼저 안락사의 정의와 구분, 그리고 연명의료와의 관계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3.1. 안락사
안락사라는 개념을 정의하기 위하여 안락사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그러나 안락사라는 개념에 관하여 극심한 이해의 혼란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학자들은 안락사 개념을 유형화하고 있으며. 일부 학자는 안락사 개념을 총 36가지로 유형화하기도 한다. 참조: 노영상, 「소극적 안락사 무엇이 문제인가?」, 예영, 2007, 17쪽

참고 자료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현대 세계의 교회에 관한 사목헌장 「기쁨과 희망」(Gaudium et Spes),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라틴어 대역)』(DOCUMENT A CONCILII VATICANI Ⅱ),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개정 제 3판 5쇄, 2012.
성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회칙『생명의 복음 (Evangelium Vitae)』,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5.
한국천주교주교회의, 『가톨릭교회교리서』,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개정 제2판 6쇄, 2011.
교황청 보건사목평의회, 『의료인 헌장』, 가톨릭중앙의료원 원목실 옮김,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1.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COMMENTARY”,<http://www.vatican.va/roman_curia/congregations/cfaith/documents/rc_con_cfaith_doc_20070801_nota-commento_en.html>
“DECLARATION ON EUTHANASIA", <http://www.vatican.va/roman_curia/co
ngregations/cfaith/documents/rc_con_cfaith_doc_19800505_euthanasia_en.html>
“PONTIFICAL ACADEMY FOR LIFE WORLD FEDERATION OF CATHOLIC MEDICAL ASSOCIATIONS INTERNATIONAL CONGRESS ON ‘LIFE-SUSTAINING TREATMENTS AND VEGETATIVE STATE: SCIENTIFIC ADVANCES AND ETHICAL DILEMMAS’ (ROME, 10-17 March 2004) : JOINT STATEMENT ON THE VEGETATIVE STATE“, <http://www.vatican.va/roman_curia/pontifical_academies/acdlife/documents/rc_pont-acd_life_doc_20040320_joint-statement-veget-state_en.html>
이창영 편역, 『생명윤리 -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3.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생명윤리연구회 엮음, 『생명과 가정: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4.
한국천주교주교회의,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 제 13권 1호 통권 37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8.
Edward J.Furton, Peter J. Cataldo, Albert S. Moraczewski 엮음, 가톨릭중앙의료원 가톨릭임상사목연구소 옮김, 『가톨릭 의료 윤리』, 가톨릭출판사, 2012.
“대법원 2004.6.24.선고 2002도995판결”,<http://www.law.go.kr/precSc.do?menuId=3
&query=2002%EB%8F%84995#AJAX>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http://www.law.go.kr/precSc.do?menuId=3
&query=%EC%97%B0%EB%AA%85%EC%B9%98%EB%A3%8C#AJAX>,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precInfoP.do?mode=0&precSeq=134370>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precInfoP.do?mode=0&precSeq=134342>
이윤성 외 10명, 「연명치료 중지에 관한 지침」, 연명치료중지에 관한 지침 제정 특별위원회, 보건복지부, 2009.
연세대학교 의료법연구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의 합리적 제도화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3.
이윤태 외 4명, 「국가생명윤리정책 발전방안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원, 「연명의료계획서(POLST)」, 『연명치료특위공청회』, 보건복지부, 2013.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의학윤리지침서』, 가톨릭출판사, 2008.
Hospital Authority, 「HA Guideline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he Terminally Ill」, 『Working Group on Clinical Ethics of the Hospital Authority Clinical Ethics Committee』, First Edition, Hospital Authority, 2002.
노영상, 「소극적 안락사 무엇이 문제인가?」, 예영, 2007.
R. Munson 저, 박석건·정유건 외 옮김, 『의료문제의 윤리적 성찰』, 단국대학교출판부, 2001.
이상용, 『치료중단과 안락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1.
P. Singer, 황경식·김성동 역, 『실천윤리학』, 철학과 현실사, 1997,
한국가톨릭호스피스협회, 『호스피스의 이해』, 현문사, 2005.
박은정, 『생명 공학 시대의 법과 윤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0.
구영모,『생명의료윤리』, 동녘, 1999.
마리아 루이사 디 피에트로 지음, 정재우 옮김, 『생명윤리, 교육 그리고 가정』, 가톨릭출판사, 2010.
K.H. 페쉬케 저, 김창훈 역,『그리스도교 윤리학』 제1권, 분도출판사, 1991,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의학윤리지침서』,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8.
최창무, 『윤리신학Ⅰ』, 가톨릭대학교출판부, 1989.
구인회, 『죽음과 관련된 생명윤리적 문제들』, 집문당, 2008.
Luis Lugo, Alan Cooperman, Cary Funk, Erin O’Connell, 「Views on End-of-Life Medical Treatments - Growing Minority of Americans Say Doctors Should Do Everything Possible to Keep Patients Alive」, 『Pew Research Center’s Religion & Public Life Project』, Pew Research Center, 2013.
이동익,『연명치료 행위의 중단에 관한 윤리적 고찰*서울서부지방법원 민사 제12부의 2008년 11월 28일 판결을 중심으로』,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12권 제1호(통권 제21호), 2009.
이주희,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정당화의 가능성과 방향』, 法學硏究 vol.20 No1,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조한상, 이주희,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법학연구』, 한국법학회, 2013,
이종원, 「안락사의 윤리적 문제: 의사 조력자살을 중심으로」, 『철학탐구』 제 21집,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07.
우재명, 「안락사와 연명치료 중단의 윤리」, 『신학과 철학』,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05.
구영모, 「생명의료윤리학에 관하여」, 『철학과 현실』. 제 32호, 철학문화연구소, 1997.
김광태, 「피터 싱어(Peter Singer)의 생명 윤리 소고 - ‘선호’(Preference)와 ‘인격체’(Person) 개념을 중심으로 - 」, 『생명윤리』 제 11권 제 2호, 한국생명윤리학회, 2010.
김일방, 「피터 싱어의 동물 해방론 비판」, 『철학연구』, 대한철학회 제 84집, 2002.
정창록, 「생명 윤리론에서 피터 싱어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생명윤리』 제 12권 제 2호, 한국생명윤리학회, 2011.
S. LAUREYS, M. BOLY, 「Unresponsive wakefulness syndrome」, 『Archives Italiennes de Biologie』, vol 150. No 4, University of Liège, Belgium, 2012.
Alexandra Markl, Tao Yu, Dominik Vogel, Friedemann Müller, Boris Kotchoubey, Simone Lang, 「Brain processing of pain in patients with unresponsive wakefulness syndrome」, 『Brain and Behavior』, vol 3 issue 2, Wiley Periodicals, Inc, 2013.
Bagnato S., Boccagni C., Sant'Angelo A., Fingelkurts Al.A., Fingelkurts An.A., Galardi G. 「Emerging from an unresponsive wakefulness syndrome: Brain plasticity has to cross a threshold level」,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V. 37, No 10, 2013.
민은기, 『학문 융합의 결정체인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의료영상장치』, 「전기의 세계」, 대한전기학회, Vol.62 No.12, 2013.
주호노, 「뇌사의 판정」, 『경희법학』, Vol 42 No1, 경희법학연구소, 2007.
남상욱, 「뇌사와 심폐사 그리고 장기이식」 ,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대한소아과학회, Vol. 52, No. 8, 2009.
강중구, 「뇌사판정」, 『대한의사협회지』, 대한의사협회, 2006년 6월.
Eelco F.M. Wijdicks, Panayiotis N. Varelas, Gary S. Gronseth, David M. Greer, 「Evidence-based guideline update: Determining brain death in adults」,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2010.
이기수, 「사망과 생존의 교집합 ‘뇌사’」, 『과학과 기술』, 통권465호,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08.
송승희, 「‘자율성 존중원칙’의 한계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 『인격주의 생명윤리』 2011년 1권 1호,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1.
손영수, 「의학에서의 생명윤리」,『생명윤리』 제22호(제 11권 제 2호), 한국생명윤리학회, 2010.
이상선,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인격주의 생명윤리』, 제 4권 제 2호,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4.
이동익. 「그리스도인의 자유와 자율에 관한 윤리신학적 연구」. 『가톨릭 신학과 사상』, 가톨릭대학교출판부, 제 25호, 1998.
홍석영, 「첨단과학시대의 생명의료윤리문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동서사상』 제7집, 동서사상연구소, 2009,
장욱,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방향 및 기준에 대한 소고」, 『한양법학』 제 43집, 한양법학회, 2013.
유재중,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특별 심포지엄 - 바람직한 연명의료결정의 방향과 과제』,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2014.
이봉림,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존엄사)법에 대한 논의와 입법방향」, 『법학논총』 제 27집 제 4호,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오세혁·정화성, 「사전의료지시의 한계」, 『의료 법학』 제 11권 제2호, 2010.
최경석, 「생전유언 및 사전의료지시 제도의 윤리적·사회적 함의」, 『말기환자의 자기결정권 존중을 위한 입법제안 심포지엄 자료집』, 경실련·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한림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라몬 루카스 루카스 저, 김명수 옮김, 『알기 쉬운 생명 윤리』, 가톨릭출판사, 2001.
박소연,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4.
박연옥, 『연명치료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2008.
이현희, 「생명의료윤리에서 자율성 존중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논문, 2009.
정창록,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경북대학교 석사논문, 2011.
송인회, 「임상시험 윤리에 대한 그리스도교 윤리 신학적 고찰」, 가톨릭대학교 석사논문, 2013.
문노을, 「사전의료의향서의 도덕적 근거와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논문, 2014.
"Terry Schiavo", <http://en.wikipedia.org/wiki/Terri_Schiavo_case>
“Jahi McMath case” <http://en.wikipedia.org/wiki/Jahi_McMath_case>
“Nolo's Free Dictionary of Law Terms and Legal Definitions”,<https://www.nolo.com/dict
ionary>
“락트-인 증후군”, <http://health.naver.com/medical/disease/detail.nhn?selectedTab=detail&
diseaseSymptomTypeCode=AC&diseaseSymptomCode=AC000008&cpId=ja2&move=con>
“연명의료 결정(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여론조사”, <http://www.gallup.co.
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468&pagePos=1&selectYear=0&search=1&searchKeyword=%BF%AC%B8%ED>
“延命医療「望まず」81%…読売世論調査”,<http://www.yomiuri.co.jp/national/new
s/20131011-OYT1T01238.htm>
“Life sustaining treatment at end-of-life in Japan: Do the perspectives of the general public reflect those of the bereaved of patients who had died in hospitals?”,<http://www.healthpolicyjrnl.com/article/S0168-8510(10)00140-5/abstract>
“Europe-wide survey reveals priorities for end-of-life care”, <http://www.eureka
lert.org/pub_releases/2011-03/kcl-esr032211.php>
“Jahi McMath gets feeding and breathing tubes”, <http://www.cbsnews.com/ne
ws/jahi-mcmath-gets-feeding-and-breathing-tubes/>
“[도올인터뷰] '실천윤리학'의 거장 피터 싱어 교수를 만나다”, <http://article.joins.co
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733541>
“PET scans may improve brain injury diagnosis”,<http://www.nhs.uk/news/2014
/04April/Pages/PET-scans-may-improve-brain-injury-diagnosis.aspx>
“Doll's eye”, <http://www.emtcity.com/topic/7434-dolls-eye>
“순천 고교생 사망, 벽에 머리 부딫히는 체벌 후 뇌사...결국 숨져” , <http://news.c
hosun.com/site/data/html_dir/2014/03/12/2014031200099.html>
“암환자 심폐소생술 선호도, 환자와 가족 의견차이 있다”, <http://news.kmib.co.kr/a
rticle/view.asp?arcid=0008689263&code=61171911&cp=nv>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권고”,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
PAR_MENU_ID=04&MENU_ID=0403&page=20&CONT_SEQ=288993>
“일기장 있어야 연명의료중단...뒤로 가는 존엄사 절차”, <http://article.joins.com/n
ews/article/article.asp?total_id=15157378&cloc=olink|article|default>
“[한국인의 마지막 10년] [2부·3] 겉도는 호스피스 정책...病床(병상) 2500개(2006년부터 10년간) 만든다더니 현재 864개뿐”,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
dir/2014/09/03/2014090300277.html>
“[한국인의 마지막 10년] [2부] 고통 속 임종 ‘중환자실’ VS 평온한 작별 ‘호스피스’···죽음의 質 다르다”,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9/03/
2014090300383.html>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찬*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파일확장자 연명의료중단 관련 국내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19페이지
    본 연구는 연명의료중단에 관한 국내연구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체계적 ... 이외에 철학·윤리신학 등의 분야 에서는 반성의 원리, 개연론, 선택의 ... 연명의료중단이라는 키워드를 검색하였다.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연명의료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