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제주도 무가 <헤심곡> 연구 : <회심곡> 사설의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4.06
5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7,9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수록지정보 : 구비문학연구 / 38권
저자명 : 강진옥

목차

1. 머리말 : 을 주목하는 이유
2. 의 자료개관 및 이본 검토
3. 의 변이양상과 의미지향
3.1.과 단락 비교
3.2.의 변이양상과 의미지향
4. 의 연행맥락과 의미기능
4.1. 시왕맞이, ,
4.2. 의 연행맥락과 제의적 기능
5. 마무리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헤심곡>은 제주도의 망자천도의례(亡者遷度儀禮)인 ‘차사영맞이’에서 불려지는 무가이
다. 불교 재(齋)의식에서 불려지는 화청(和請) <회심곡>을 수용하여 제주도 무속의 신앙체계
에 부합되는 방향으로의 독자적 변용을 실현함으로써 불교계 가사와 무가사설의 교섭양상
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된다. 불교계 가사 <회심곡>에서 무가 사설 <헤심곡>으로 전
환하는 과정에는 제주도 무속의 신앙관념이 수용과 변용의 중심축으로 뚜렷이 자리하고 있
음이 확인된다. <헤심곡>은 <회심곡>의 기본구조와 중요단락을 받아들이되, 특정대목에서
는 제주도 무속의 신앙관념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사설 변이를 시도하는데, 특히 ‘저승차
사의 도래’ 단락에서 부각되는 ‘본향당 탐색’과 ‘가신들의 대응’ 삽화는 불교계 가사 <회심
곡>이 제주도 무가 <헤심곡>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청되었던, 제주도민의
문화적 정체확인과정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제주도 무속집단은 외래종교문화적 배경을 지
닌 <회심곡> 사설에 토착의 신앙관념을 대변하는 삽화들과 제주도민의 생활문화적 가치관
념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제주도 무속의 세계관념과 의례구조 속에 ‘죽음의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세계관적 기반을 도입했을 뿐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진행되는 제의 맥락과의 연
관성을 구체화하는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망자의 저승천도와 극락왕생에의 기원을 현실화하
고자 했다. 그 결과 <헤심곡>은 제주도 무속의 신앙체계와 사후관념, 저승관념을 뒷받침해
주는 텍스트로서, 차사영맞이의 주요제차를 뒷받침하는 근거이자 사령의례의 근간을 이루
는 중추적 무가 사설로 거듭날 수 있었다. 본고에서 시도한 <헤심곡>의 존재양상에 대한
문화문맥적 접근은 불교적 세계관의 무속적 수용과 변용의 양태를 이해하고 제주도 무속집
단의 문화적 정체성과 상상력 체계에 대한 이해의 단서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확
인할 수 있다.

영어 초록

<Hyesimgok> is a song called “Chasayeongmaji”, which is sung in the ritual
to send the dead to the other world. It is a good example showing the
incorporation of Buddhist verses into shaman songs through variations
reflecting Jeju’s shamanistic belief system.
The process in which Buddhist verse <Hyoisimgok(回心曲)> transforms into
shaman song demonstrates that Jeju’s shamanistic belief system lies in the
center of its reception and variation. <Hyesimgok> accepts the basic structure
and key phrases of <Hyoisimgok>, but in some parts verse variations that
obviously refect the Jeju shaman’s beliefs is tried especially in such illustrations
as ‘Exploration of Bonhyangdan’ and ‘Response of house gods’ in the part
called ’Coming of the Death Messenger’. It supports the process of cultural
identification of Jeju people that was required in the transformation of Buddhist
verse <Hyoisimgok> to Shaman song, <Hyesimgok>.
The Jeju shamans actively utilizes the illustrations that represent the
indigenous belief system and cultural values of daily lives of Jeju people, thus
they not only introduced the world view base through which they can
approach the question of death in shamanistic world view and ritual structure,but also attempted to realize wishes of the moving of the dead to the other
world and eternal living in the heaven by preparing devices materializing the
context and relationship of the rituals that are proceeding ‘here and now’.
As a result, <Hyesimgok> could be reborn as a central shaman song that is
a backbone of the ritual sending the dead to the other world and a base that
backs up main ritual elements as a text for Jeju’s Shaman belief system,
thoughts on after death, and the next world.
This study attempted a cultural and contextural approach on the forms of
existence of <Hyesimgok> to understand the shamanistic reception and
variation of Buddhist world view. It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provides
a clue to understand the cultural identity and imaginative world of Jeju
shaman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제주도 무가 &lt;헤심곡&gt; 연구 : &lt;회심곡&gt; 사설의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