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의역사(일제부터주한미군환경오염까지)
등록일 2003.01.30
한글 (hwp) 23페이지 가격 1,5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용산의 역사인데요.. 주한미군이 저지른 환경문제와.. 현재 기지때문에 야기된 문제들을 조사하여 작성했답니다.. 도움되세요사진도 첨부되어 있습니다
목차
서론용산 미군 부대부지:불길한 역사가 남긴 금단의 땅
본론
1.용산의 역사
2.용산 미군기지 현황(문제점)
교통
환경파괴
지하17m까지 오염
3.주한 미군문제의 본질은 무엇일까?
결론
우리의 용산군부지는 앞으로 어떻게 변해갈 것인가?
본문내용
이 땅은 기구했던 우리 근대사가 남긴 유산이다. 도성에 가까우면서도 인가가 많지 않았던 이 지역은 임진왜란 때 일본군의 보급기지였고, 1882년 임오군란 때는 청군의 점령지였다가 이태 뒤 일본군의 손으로 넘어간다. 1896년 러-일각서로 한국에 주둔군을 둘 빌미를 갖춘 일본은 필동2가 남별영에 근거를 두었다가, 1903년 러일전쟁시 용산역과 남대문역 앞에 바라크 막사를 지어 증원군을 수용하지만, 1905년 아예 이 지역의 땅 300만평을 강제수용해 1908년 영구적인 군사기지를 완성한다. 주한미군 슈미트 공보실장대리는 14일 오전 공식 브리핑을 통해 '지난 2월9일 포름알데히드 75.7ℓ(20갤런)가 용산기지내의 하수도를 통해 단 한차례 폐기된 사실을 확인하며 재발 방지를 위해 모든 후속조치가 취해졌다'고 밝히면서 1가지 사실확인과 2가지 거짓말을 하였다.이번 미군의 공식 브리핑을 통하여 확인된 것은 주한미군은 이 사실을 알고 고의로 은폐하였다는 것을 인정했다는 것이다. 물론 이 사건은 녹색연합이 공개한 미군 내부 공문에 의하여 확인된 사실이다. 그럼에도 미군이 공식적으로 이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밝힌 부분은 스스로 조직적 범죄를 인정하는 것이다
판매자 정보

stealer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