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곤충매개 질병과 구제방법
등록일 2001.06.07
한글 (hwp) 15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1. 대표적인 곤충매개 질병2. 방제, 구제 방법
본문내용
1) 일본뇌염법정전염병(제2종)이다. 임상적으로는 다른 바이러스에 의한 뇌염과 구별하기 어려우나, 유행성 뇌염 중에서는 치명률도 높고 감염도 많은 편이다. 일본에서는 옛날에는 노인층에 많았고, 1935년 이후에는 유소아에게서 많이 볼 수 있었으나, 근년에는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소아나 청장년, 또는 노인 등 연령에 관계없이 발생한다고 하는데, 한국의 경우에도 거의 같은 현상이다. 7∼10월에 유행하며 다른 계절에는 볼 수 없는 이유는 일본뇌염의 감염이 모기를 매개로 하기 때문이다.
【증세】 갑자기 38∼39℃의 고열을 내고 꽤 심한 두통을 일으키며 구역질 ·구토가 수반된다. 연소자의 경우는 복통 ·설사 등 위장증세도 따르는 일이 많다. 처음에는 여름감기나 밤에 차게 잤을 때의 증세와 비슷하나, 열은 더욱 높아져서 40℃ 전후에 이르며, 헛소리를 하거나 흥분 ·의식혼탁, 안면 ·수족의 경련도 때로 일어나 뇌염 특유의 증세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고비는 발병 후 4∼7일이고, 이 시기를 견디어내면 열도 차차 내리고 회복되기 시작하지만 합병증으로 폐렴이나 심근염이 유발되는 수가 있다.
참고 자료
1. 위생곤충학 대학서림 1998 저자 김영환 p127, p151, p159, p163, p191, p243, p247, p2632.. 야후 백과 사전 http://yahoo.co.kr
판매자 정보

zephyr1318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