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서울대 생물학실험1 A+ general observation

센타우리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4.05.25
최종 저작일
2024.05
8페이지/워드파일 MS 워드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서울대 생물학실험1 A+ general observation"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Abstract

Ⅱ. Introduction

Ⅲ. Materials & Method
Ⅲ-Ⅰ) 구강 상피 세포와 양파 표피 세포 관찰
Ⅲ-Ⅱ) 세포 분열 관찰
Ⅲ-Ⅲ) 단백질 정량

Ⅳ. Result
Ⅳ-Ⅰ) 구강 상피 세포와 양파 표피 세포 관찰
Ⅳ-Ⅱ) 세포분열 관찰
Ⅳ-Ⅲ) 단백질 정량

Ⅴ. Discussion

본문내용

Ⅰ. Abstract
세포는 생물을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로, 세포를 이해하는 것은 생물의 생명활동을 이해하는 것으로, 생물학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번 실험에서 다양한 세포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고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첫번째 실험에서는 진핵세포인 동물세포인 구강세포와 식물세포인 양파표피세포를 관찰함으로써 둘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뿐만 아니라 두번째 실험에서 체세포분열과 생식세포분열을 관찰하여, 각 과정을 통해 세포의 생식과 생장을 이해하였다. 또한 양파의 뿌리세포와 호밀이삭을 통해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분열 특징을 비교하였다. 세번째 실험에서는 세포 내 물질대사에 필수적인 단백질을 정량하는 방법을 다뤘다. BSA 단백질의 농도에 따른 흡광도를 측정한 뒤,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둘의 관계가 비례함을 학습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실험에 있어 오차범위를 줄이는 방법을 discussion에서 다뤘다.

Ⅱ. Introduction
생물학에서 생물의 구조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가장 먼저 관찰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때 우리는 생물을 자세하게 살펴보기 위해 현미경을 사용한다. 현미경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광선에 따라 크게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나눌 수 있으며, 모듈1 실험에서는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세포를 관찰하였다. 광학현미경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를 통해 시료를 확대하는데, 최대 2000배까지 확대할 수 있다. 1, 2주차에서 우리는 현미경을 통해 여러 세포를 관찰하였다.
세포는 생물의 구조적, 기능적 기본 단위이며, 핵, 세포 소기관, 세포 골격에 따라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로 구분한다. 원핵세포는 염색체를 핵막이 감싸지 않은 핵양체 구조이며,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골지체 등의 막성 소기관이 없는 것처럼 내막계가 발달되어 있지 않다. 원핵세포는 대부분 단세포 생물로 진정세균, 고세균이 포함된다.

참고 자료

Taylor 외, 김영원 외 역, 《캠벨 생명과학 개념과 현상의 이해 (10판)》, 라이프사이언, 2021, 59면.
박기석 외, <식물로부터 유전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현장과학교육》 1(2), 서울대학교, 2007, 81~91면.
Eric J Simon, “Campbell essential biology with physiology (6th)”, Pearson, 2019, pp.155~172.
Nicholas J. Kruger, “The Bradford Method For Protein Quantitation”, the Protein Protocols Handbook, 2009, pp.17~24.
DF Swinehart, “The Beer-Lambert Law”,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62, p.333.
Eric J Simon, “Campbell essential biology with physiology (6th)”, Pearson, 2019, pp.101-102.
박노동 외, <Dye-binding Capacities of Proteins using Coomassie blue G250 in an Acidic Solution>, 《한국농화학회지》 25(4), 1982, 248~251면.
Oliver H. Lowry et al.,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 Chem, 1951, pp.265~274.
Walker JM, “UV-Assay”, The Protein Protocols Handbboks, 1974, pp.574~579.
Walker JM, “The Bicinchoninic Acid (BCA) Assay for Protein Quantitation”, Methods Mol Biol, 1994.
센타우리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소개
회원 소개글이 없습니다.
전문분야
공학/기술, 자연과학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서울대학교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서울대 생물학실험1 A+ general observation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