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ESRD 만성신부전 인공신장실 케이스(A+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씩)
- 최초 등록일
- 2023.12.28
- 최종 저작일
- 2019.08
- 3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매년, 만성신부전 진료 인원이 늘어나고 있다. 만성콩팥기능상실의 원인은 복잡하며 콩팥기능의 점진적인 손실을 가져오는 질병은 다양하다. 그러나 2017년 대한신장학회의 조사에 따르면 콩팥기능대체요법이 필요한 말기콩팥기능상실의 발병 원인은 당뇨병(50.2%), 고혈압(20.3%), 만성토리콩팥염(사구체신염, 8.4%)순으로 나타나고 당뇨병이 차지하는 비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당뇨병 유병률(만 30세 이상)은 전체 11.1%, 남성 13.5%, 여성8.8%이고, 남녀 모두 연령증가와 함께 증가하여 남성은 60대, 여성은 70대 이상에서 가장 많다. (국민건강통계, 2014). 또한, 우리나라 30세 이상의 고혈압 유병률은 전체 30.4%, 남자 34.2%, 여자 26.9%이다. (보건복지부, 2014). 2014년부터 2016년 진료 인원 연령별을 파악한 결과(건강보험심사평가원)로는 60대, 70대의 고령층이 다수를 차지하나 최근에는 IgA로 인한 면역 관련 원인으로 젊은 층도 많아지고 있다.
만성신부전의 주요 원인인 당뇨병과 고혈압이 증가되고 있음에, 그리고 만성신부전의 질환을 앓는 연령대가 다양해지고 있음에 따라 HTN과 DM으로 ESRD 진단을 받고 내원하신 환자를 대상으로 ESRD의 병태생리와 간호 등을 알아보고 대상자에게 적합한 간호를 수행하고자 연구하였다.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인공신장실 실습기간을 통하여 End Stage Renal Disease(ESRD)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ESRD 진단을 받고 Hemodialysis를 위해 내원하신 대상자 분과 라포 형성 후 사정하고, 월수금 4시간 동안 혈액투석하시는 간호수행을 보조하였다. 또, EMR을 통하여 admission note, progress note, lab sheet 등을 활용하여 환자에게 수행한 간호를 관찰하였다.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http://www.snuh.org/pub/infomed)
통계청, http://kosis.kr
제 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2013, 현문사, 차영남 외 13명)
드러그인포 http://ndrug.druginfo.co.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임경춘 외(2017). 건강사정. 정담미디어.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하권). 현문사. p.14-27. p.118-209. p.568-620.
양선희 외(2018).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P.109-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