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이벤트(이정학 저자) 1~4장 정리본 - 축제이벤트프로젝트연구 A+ 중간고사 족보
- 최초 등록일
- 2023.03.07
- 최종 저작일
- 2022.04
- 5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3,000원
소개글
"축제이벤트(이정학 저자) 1~4장 정리본 - 중간고사 족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축제의 기원
2. 축제의 역사
3. 축제의 정의
4. 축제의 진정성
5. 축제의 속성과 방문동기
6. 축제의 효과
7.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문제점
본문내용
1. 축제의 기원
첫째, 원시신앙 기원설이다. 샤머니즘은 주술사를 통해 신의 세계와 현세를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토테미즘은 동식물 등 특정한 자연을 숭배하는 것을 말한다. 이 안에 동물을 숭배하 는 애니미즘이 있다. 즉, 축제는 샤머니즘 원시신앙과 같은 종교적 차원에서 인간과 신 또는 조상과의 교류를 갈망하는 의식에서 출발했다고 보는 것이다.
둘째, 제천의식 기원설이다. 원시농경사회에서는 곡식 파종, 수확할 때 풍년을 기원 어촌사 회는 어민의 안전과 풍어를 기원한다. 축제는 인류 초기 인간과 자연의 교류차원에서 실시된 제천의식이나 의례에서 출발했다고 보는 것이다.
셋째, 놀이기원설이다. 인간은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요한 호이징하의 ‘호모 루덴스’는 놀이하는 인간이다. 즉, 인간은 놀이 그 자체를 즐기려는 속성이 있다. 인간의 유희적 본능이 문화로 표출된 것이 축제이다. 축제는 놀이의 특징을 가장 잘 설명해주고 있다.
2. 축제의 역사
고대사회는 신에게 추수감사를 위해 제천의식을 하였다. 한국 축제의 기원이다.
고려시대에는 국가 및 불교차원의 축제로 국가와 왕실의 안녕을 기원했다. 팔관회, 연등회, 석가탄신일, 산대잡극이 성행하여 축제공연 이벤트 및 한국 축제의 효시가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척불숭유정책으로 불교적인 축제가 사라졌고 민간 차원의 축제로 마을의 다 산 및 풍요 기원과 사회풍자를 하는 산대잡극, 강릉단오제, 화회별신굿이 성행하였다. 대중적 놀이와 가면극의 효시가 된 산대잡극은 고려시대에는 전문배우만 가능하였지만, 민간인이 직 접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일제강점기를 기점으로 근대사회에는 민족말살정책에 대항하기 위해 전통문화 예술축제의 시대였다. 전통문화를 계승하고자 하였다.
지방자치제 도입을 기점으로 나뉜 현대사회 제 1기는 단합대회 축제의 시대로 주민의 단합을 다졌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