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공학기초실험]알루미늄 인장시험
- 최초 등록일
- 2022.02.20
- 최종 저작일
- 2022.0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재료공학기초실험]알루미늄 인장시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및 원리
1) 항복점 (Yield Point)
2) 항복 강도
3) 탄성 계수
4) 내력 (Yield Strength)
5) 연신률 (Elongation Percentage)
6) 단면 수축률 (Reduction of area)
7) 인장 강도
8) 진응력
9) 용어 정리
3. 실험 장치
1) 인장시험기
4. 실험 방법
1) 시편 준비(표준시편)
2) 시험 방법
5. 주의 사항
6. 실험 결과
1) 결과 DATA
7. 토의 사항
1) 실험 고찰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1.1.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시험중에서 가장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시험방법이 인장시험이다.
1.2. 본 실험을 통해서 재료의 항복점, 인장강도, 연신율, 단면수축율 및 하중 등의 기계적 성질을 평가하여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실험 이론 및 원리
2.1. 항복점 (Yield Point)
물체에 외력을 가하면 물체 내부에는 변형력이 나타나며, 변형이 생긴다. 보통 변형력이 작은 동안은 변형이 응력에 비례하지만, 비례한계를 넘어 응력을 크게 가하면 어떤 값부터 응력은 거의 증가하지 않고 변형만 증가하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 현상을 항복이라 한다.
2.2. 항복 강도
인장시험에 있어서 항복점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재료에서는 적당한 영구변형 (보통 0.2%)을 일으켰을 때의 하중을 원래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 이것을 σ0.2 로 나타낸다.
항복강도란 재료가 '항복'하는 응력.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한계응력" 이란 뜻
x축은 변형률 y축은 응력, B 지점이 항복점. 항복점에 해당하는 y축의 응력을 항복강도
탄성변형이란 그래프에서 직선으로 표현된 초기구간, 그 이후는 소성변형구간. 고무줄처럼 손으로 잡고 늘렸다가 놓았을 때 원래상태로 돌아 가는 것을 탄성변형이라 하고, 철사를 늘릴 때처럼 한번 늘려 놓으면 다시 돌아오지 않는 것을 소성변형이라 한다. 금속도 탄성변형 구간이 존재. 그렇지만 사람이 육안으로 정확하게 탄성변형구간과 소성변형구간을 나눌 수가 없기 때문에 임의로 변형률이 0.2% 인 곳에서 탄성변형구간의 기울기대로 죽 그어서 만나는 지점을 항복점으로 정하자 라고 약속했습니다.
2.3. 탄성 계수
탄성계수는 응력과 변형률간 관계를, s = E․e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해주는 계수이다. 이 때 E를 탄성계수 즉, Young's modulus 라고 하며 물체를 양쪽에서 잡아 늘일 때, 물체의 늘어나는 정도와 변형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탄성률이다.
참고 자료
그림으로 설명하는 금속재료, 이승평, 청호, 2000년 2월 17일
Engineering materials 1, Michael F Ashby, David R H Jones, B/M, 2005년
재료과학 제7판, James F. Shackelford, 청문각, 2009년 10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