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노인여가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한 논문입니다. 내용은 대한민국에 발표된 학위논문, 학술지 등에서 효과성 검증을 한 논문의 전수조사 내용입니다. 프로그램은 노인레크리에이션, 노인치료레크리에이션, 노인놀이치료의 효과성 검증입니다.
목차
1. 들어가기
2. 연구방법
1) 자료분석
2) 분석틀
3. 결과분석
1) 연도별 분석
2) 연구 대상
3) 연구 방법
4) 연구 기간
5) 기능적 요소
6) 효과성 검증 요인
7) 제언
4. 나가며
1) 연구 결과
2) 제언과 논의
5. 참고문헌
본문내용
2017년을 기준으로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14%에 이르러 이미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했으며, 2026년에는 전체 인구의 20.8%가 노인 인구인 초 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된다(통계청, 2015). 보건복지부에 의하면 2050년에 노인 인구는 1,799만 여명으로 추산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14).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부양비 추세를 보면, 2005년에는 12.6, 2010년에는 15.2, 2030년에는 38.2, 2050년에는 72.6으로 이 지표가 의미하는 바는 2005년에는 7.9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고, 2010년에는 6.6명, 2030년에는 2.6명, 2050년에는 1.4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통계청, 2016).
노인 인구의 증가로 발생하는 문제는 개인은 물론 사회와 국가에 많은 변화를 양산하며 큰 영향을 미치게 한다. 최근까지도 노인 문제는 개인의 문제 또는 노인을 모시고 있는 가정의 문제로만 취급됐지만, 이제는 사회적인 문제로 받아들이고 있다.
<중 략>
본 연구에서는 레크리에이션, 치료레크리에이션, 놀이치료가 국내에 도입돼, 국민의 여가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심·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특정 대상을 상대로 한, 심도 있는 동향 분석이 없기에 세 영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효과성 검증 연구물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분포는 통한 추이는 어떠한가? 둘째, 연구 대상의 심·신의 특징은 어떠한가? 셋째, 연구 방법과 장·단점은 무엇인가? 넷째, 연구 기간은 어떠한가? 다섯째, 영역별 기능적 요소는 차별성은 무엇인가? 여섯째 영역별 효과 검증 요인은 무엇인가? 일곱째, 제언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이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레크리에이션, 치료레크리에이션, 놀이치료를 적용해 효과성 검증으로 발표된 연구들을 분석하는 건, 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시점에서 노인 여가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개발에 지표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참고 자료
김난수(2010), “레크리에이션 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동적 평형성 및 하지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pp. 373-380.
박세혁(2006),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의 연구 동향”, 한국체육학회보, 85, pp. 34-35.
박제성·김도호(2005), “치료레크리에이션에 관한 국내 학술 연구 동향 분석”, 한국소프츠리서치, 16(3), pp. 803-811.
신성은(2005), “노인의 경로당 내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참여가 대인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신혜원(2009), “노인놀이치료의 통합적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이난희(2009), “집단 미술치료가 뇌질환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이정훈(2012), “시설거주 치매노인의 우울 감소 및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꽃동네 대학원 석사 학위.
이주연·윤정희(2009), “국내 치료놀이 연구동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2(1), pp. 65-77.
통계청(2015), 『2015년 고령자 통계』, 2015. 9. 24. 보도자료.
한윤수·최정현(2008), “레크리에이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38(4), pp. 941-952.
허정무(2000),『현대사회의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서울: 협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