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의 복지정책 중 육아지원정책을 소개하고 자신의 소견을 제시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1.05.29
- 최종 저작일
- 2021.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스웨덴의 복지정책
2. 스웨덴의 복지정책 중 육아지원정책
1) 부모보험제도
2) 재정적 지원정책
(1) 아동수당
(2) 임신급여
(3) 출산급여(부모휴가급여)
(4) 일시적 부모현금급여
3) 휴가지원 정책
(1) 부모휴가(parentalleave)
(2) 부(父)할당제도(daddy'squota)
(3) 일시적 부모 유급휴가(Tillfillig foraldrapenning)
(4) 터울혜택(Speed- Premium)
(5) 양성평등 상여금제(Gender equality bonus)
4) 보육·교육지원 정책
(1) 취학 전 유치원(Förskola Open Pre-school Class)
(2) 종일제 유치원(Förskola, Pre-school)
(3) 개방형 유치원(Förskola, Open Pre-school)
(4) 개인보육기관(Ppedagogical care)
3.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현대 스웨덴 복지모델은 한손 총리(1932~46년 재임)가 1928년 사회민주당 당회의에서 발표한 ‘국민의 집(The Peoples’ Home)’개념에서 출발한다. 이 개념은 국가가 ‘국민의 집’ 같은 역할을 통해 노동자 등 사회적 약자를 포함한 온 국민이 일정수준 이상의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평등 개념과 보편적 복지를 통해 온 국민의 삶의 질을 보장하는 것이다. ‘국민의 집’이란 슬로건은 국가가 모든 국민의 안락한 집 같은 존재가 되어야 한다는 공동체적 이념을 구현한 것으로, 사회민주주의 정당이 전통적으로 추구하는 국유화 대신 보편적 복지국가 이념이 목표임을 강조하였다. 스웨덴 사민당의 사상적 기반에서 출발한 ‘국민의 집’에 대한 논의는 사회복지제도의 구상에서부터 지금까지 스웨덴의 정치경제 이념으로 작동하고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스웨덴의 복지정책 중 육아지원정책을 소개하고 자신의 소견을 제시해 보겠다.
Ⅱ. 본론
1. 스웨덴의 복지정책
스웨덴은 사회민주주의 복지국가로 사회와 국가 그리고 가정이 모두 함께 육아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생각을 사회 전체가 공유하고 있다(이순희,2016). 사회 환경정비를 목적으로 자녀 삶의 질 향상과 취업 여성의 육아 환경을 위해 1947년에는 「아동수당 기본법(Basic Child Benefits Act)」을 제정하였고 1948년에는 아동수당제도, 출산휴가, 육아휴직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1930년부터 1960년까지는 어머니의 지위를 중요시하는 육아지원정책을 펼쳤는데 이는 출산과 육아를 개인이 아닌 사회전체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스웨덴 정부의 국가관이라 할 수 있다. 스웨덴 정부의 육아지원정책에 대한 국가관은 정책의 구성체계에도 고스란히 드러나 있었는데 이는 스웨덴의 수당지원, 보육·교육지원, 휴가지원을 포함하는 공공 서비스로 구성체계가 분류되었다.
참고 자료
김태성 외. (2014). 『복지국가론』, 나남출판.
김윤태. (2010). 「복지국가의 발전과 도전」, 김윤태 편, 『한국복지국가의 전망』, 한울.
김송이(2007). 스웨덴과 영국의 보육서비스 비교. 국제사회보장동향.
김은정 외(2017). 수요자 중심의 보육서비스 지원체계 현황과 정책과제.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문무경(2006). 스웨덴의 육아정책 : 유아교육과 보육, 학교 교육의 통합을 중심으로.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