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안락사의 정의 및 유형 분류와 윤리적 논쟁
- 최초 등록일
- 2021.05.11
- 최종 저작일
- 2021.04
- 14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1,500원

소개글
"안락사의 정의 및 유형 분류와 윤리적 논쟁"에 대한 내용입니다.
관련 과목에서 A+ 받은 과제입니다.
목차
1. 개념 및 유형 분류
1) 4가지 관점에서의 의미
2) 드레이퍼의 안락사 성립을 위한 5가지 요소
3) 인과적 근접성에 따른 유형 분류
2. 찬성 및 반대 의견
1) 찬반 의견 한눈에 보기
2) 적극적 안락사 찬성의 근거 및 중점 가치
3) 소극적/비자발적 안락사의 찬성 근거 및 허용 조건
4) 안락사 반대 의견의 근거 및 중점 가치
3. 세계적 현황
1) 안락사 허용 국가 및 허용 범위
4. 안락사 논쟁의 한계와 방향성
1) 인간의 존재와 죽음에 대한 이해
2) 고통에 대한 이해
3) 상호관계적 접근을 통한 이해
본문내용
1. 개념 및 유형 분류
4가지 관점에서의 의미
안락사
어원적 의미 - 헬라어 eu(좋은)와 Thanatos(죽음)의 합성어인 euthanatos(좋은 죽음)
웹스터 새국제사전 정의 - 치유될 수 없는 질병 및 상황에 의해 큰 어려움을 겪는 이를 고통 없이 죽여주는 행위 및 관행
사전적 의미 - 조용하고 편안한 죽음을 야기시키는 행위
드레이퍼(H.Draper)의 정의 - 어떤 사람이 최대한 편안한 수단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을 죽이려는 의도에서 파생된 죽음
드레이퍼의 안락사 성립을 위한 5가지 요소
행위자와 환자 (agent and subject) - 안락사와 자살을 구분시켜 주는 요소
.안락사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행하는 것
행위자의 의도 (intention of agent) - 안락사에 대한 도덕적 책임 논의를 위한 요소
.환자의 죽음을 야기하려는 의도
인과적 근접성 (casual proximity)
.환자의 죽음을 위해 행위자는 행위 수행 여부를 선택
행위자의 동기(motive of agent)
참고 자료
김상득, 손명세. (2000). 안락사 : 정의, 분류 그리고 윤리적 정당화. 생명윤리, 1(1), 97-111.
권혁남. (2011). 안락사 논쟁에 대한 윤리적 접근방식과 그 한계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논총, (32), 205-226.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6/Legality_of_euthanasia.sv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