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2. 직류전원장치 및 멀티미터 사용법 예비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20.03.25
- 최종 저작일
- 2020.03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이론(요약)
3. 예비보고서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예비보고서
① 실험 목적
전기 전자회로 실험의 가장 기본적인 기기인 전원 장치와 멀티미터에 대하여 설명하고, 멀티미터를 사용한 전압, 전류, 저항 측정법에 대하여 실험하기로 한다.
② 이론 (요약)
출력전압과 전류의 비율을 전원 장치의 등가 출력저항이라 하며 등가저항이 작을수록 이상적인 전원 장치에 가깝게 된다. 출력전류에 따른 전압의 변동을 가능한 작게 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전원 장치를 정전압 전원 장치라 한다.
전기 전자회로에서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물리량으로는 전압, 전류 및 저항이 있다. 전압이란 두 점 사이의 전위차를 일컫는 것으로, 전압의 단위는 볼트이다. 전류란 전위차에 의하여 단위 시간동안 단면을 통하여 흐르는 전하의 양을 나타내며, 그 단위는 암페어(A)이다. 저항이란 두 점 사이에 전압이 가하여졌을 때 전하의 흐름을 방해하는 물리량으로 두 점 사이에 존재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전압과 전류와 저항 간에는 다음과 같은 상관 관계가 있으며 Ohm의 법칙이라 하고, 저항의 단위는 Ω이다. V=IV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준점이 있어야 하며 이를 기준으로 측정된 전압은 기준점과 측정점 사이의 전위차를 나타낸다.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회로 가지를 절단하고 전류계를 연결하여 측정한다.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교류 신호의 전압과 전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 자승 평균값으로 표시한다. 신호가 정현파인 경우에는 정현파 신호의 진폭과 자승 평균값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참고 자료
네이버 블로그 <직류전원공급장치 사용법> 2008.06.18.
전기전자기초실험 대한전자공학회 편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