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9강 스마트시대가 도래하다 1
◆ 고대도시
- 고대, 중세 도시는 농업 및 상업을 기반으로 정치, 군사, 상업, 식민 도시 형태로 성장
- 기원전 고대 도시는 평야 지역 등 자연 조건을 중심으로 도시국가나 왕조 도읍지 같은 소규모 도시 형태
◆ 중세도시 : 프라다
- 중세도시는 상업, 수공업 등을 주요 산업을 중심으로 정치, 군사, 종교의 중심지 역할 수행
◆ 현대도시 : 뉴욕
- 근대도시는 산업 혁명을 계기로 생산, 소비 기능을 수행하는 산업도시 형태로 발달하면서 도시화를 촉진
- 산업혁명에 의한 공업 도시 발달과 이촌향도 현상은 급속한 도시화 촉진을 통해 대도시 및 거대도시 등장
◆ 미래도시
- 현대도시는 교통 및 정보통신의 영향으로 정보도시 형태로 발달
- 도로, 항만, 상하수도 등과 함께 정보 네트워크가 도시 기반 인프라로 인식
- TelePort ( telecommunication + port) 개념 등장
: 도시 인프라로 IT 네트워크 도입하여 다양한 정보통신서비스 지원함으로써 도시발달을 촉진하고자 계획된 도시
: 미국 , 일본, 영국, 캐나나, 네덜란드 등 100여 곳에 텔레포트가 운용, 건설 중
- 미래 도시는 유비쿼터스혁명에 의한 첨단 지능형 도시
: 미래 도시는 u-IT가 새로운 인프라로 도입되면서 맞춤형, 자율형의 도시 서비스가 제공되는 쾌적하고 편리한 지능형 도시
: 국내에서는 u-송도, 상암 디지털 미디어 스트리트(dmc) u-화성동탄, u-강남 등, 해외에서는 유럽의 Intelcity 프로젝트, 두바이의 Palm islands 구축, 싱가폴의 one-north 구축 계획 등이 대표적인 사례
◆ 스마트 시티, 기획재정부 2010
1. 정보통신 기반 시설이 인간의 신경망처럼 도시 구석구석까지 연결
2. 사무실에 가지 않고 집에서 모든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텔레워킹 일반화
3. 유사한 개념으로 과학 기술이 고도로 발달된 테크노피아, 네티즌이 중심이 되는 사이버 시티
4. 미래학자들이 예측한 21세기 새로운 도시 유형
5.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도시 구성원 간의 네트워크간 완벽하게 구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