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와표현 ) 일본문화와 관련된 것으로 논문형식으로 작성
- 최초 등록일
- 2020.02.06
- 최종 저작일
- 2020.02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300원
소개글
"사고와표현 ) 일본문화와 관련된 것으로 논문형식으로 작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일본 정원의 역사
2) 일본 정원의 구성요소
(1) 수목
(2) 물
(3) 암석
(4) 건축적 요소
3) 일본 정원의 사상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정원의 역사를 말하자면 정원은 고대부터 시작할 수 있다. 태초의 시작을 보면 정원은 외부의 환경에 대비하여 생활공간인 내부에 순화된 환경을 자아낸 결과물이다. 고대 사회는 정원의 이러한 기능이 더욱 강조되는 시기였을 것이다. 그 이후에 중세사회에 들어가면서 부터는 문화적 특징에 따라 정원이 변화한다. 종교적 색채가 더해져 이슬람이나 기독교, 불교문화권에 따라 특징이 지어지기도 하고, 유럽, 중동, 동아시아 등 지역에 따른 색채로 정원의 특징이 달라지기도 한다.
정원의 양식은 크게 서양과 동양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서양은 기하학적인 정원을 추구하며, 동양은 자연 그대로의 정원을 이상향으로 꼽는다. 일본은 거대한 정원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과 달리 소규모로 감상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정원이며, 자연과 정원의 경계를 뚜렷하게 두지 않는 한국과 달리 자연을 직접적으로 정원 내부에 끌어들여 독점하는 수법을 사용하는 정원이다.
본고에서는 일본의 전통적인 정원의 특징과 수법 등을 확인하고, 일본의 전통문화에 관한 고찰을 하고자 한다.
2. 본론
일본식 정원은 자연을 최대한 모방하여 인공적으로 보이지 않게 하는데 중점을 둔다. 일본의 정원사는 풍경을 구성할 때 세 가지의 기본적인 원칙을 따른다고 한다. 첫 번째는 축적의 축소이다. 공간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자연의 경관을 정원 안에 축소하여 옮겨놓은 것을 말한다. 두 번째는 상징성이다. 이는 일본식 정원에 함의된 다소 추상적인 개념을 말한다. 실제의 물이 아니라 흰 모래나 자갈 등을 사용하여 바다를 표현해내는 것과 같은 추상성이다. 그리고 이 추상적으로 축소하여 놓는 대상은 정원 밖에 있기 때문에 이를 “빌려온 경치”라 표현한다. 이 경치를 빌려왔다는 개념이 일본식 정원의 세 번째 특징이다.
일본의 정원의 구성 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언덕 정원이라는 의미의 츠키야마이다. 츠키야마는 언덕과 연못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 자료
한국조경학회, 「제 2회 정원학 심포지엄 – 정원학의 새로운 지평」, 2014 (kila.or.kr)
김상범, 「동양 전통정원의 형식과 특성」, 농업사연구 8권3호, 2009
김종용, 「한국 내 조성된 일본식 정원의 특성 비교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16
박경자, 『일본의 정원』, 학연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