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아주대 재료공학실험1 열분석 실험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19.06.30
- 최종 저작일
- 2019.05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2019 아주대 재료공학실험1 열분석 실험보고서입니다.
점수는 7점/10점이였습니다.
깎인 이유는 오리진 프로그램에서 TGA 그래프 그릴 때, 잘못 설정했었습니다.
이 점만 참고하시면 됩니다.
목차
1. 실험 목표
2. 이론적 배경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결론 및 고찰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표
우리가 이론으로만 봐왔던 2원공정계, 1원공정계 등등의 금속 상평형도를 직접 그려보고 Pb-Sn시료의 분율을 다르게 하여 용융시킨 후 상온에서 냉각을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시간에 따른 냉각곡선을 얻고 용융잠열이 발생하는 상변태 구간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밖에도 DTA,DSC,TGA 열분석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래프 드로잉 프로그램(Origin)을 사용해봄으로써 추후에 있을 다른 실습실험이나 전공실험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2. 이론적 배경
이 실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평형의 개념부터 알아야 한다. 상(phase)이란 고체상, 액체상, 기체상과 같이 물질이 현재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있는가를 의미한다. 특정 온도와 특정 조성 사이에서 상들은 제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새로운 고체상이 나타날 수도 있고 공액선을 넘어가면 액상으로 변할 수도 있다. 상태도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있으며, 이러한 그래프를 통해 미세조직을 예측할 수 있으며, 평형인지 준평형인지 비평형인지도 알아 낼 수 있다. 상평형에는 2원 상태도, 1원 상태도 N원 상태도 등등이 존재한다. 이 중 우리가 볼 것은 2원 상태도인데 Pb-Sn 상태도가 여기에 속한다.
참고 자료
재료공학과 과학 9판 BY. Callister 11단원 (상변화) 참고.
레이먼드 창 일반화학 11판 11단원 상평형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