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분석과 그로 인한 영향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19.04.09
- 최종 저작일
- 2016.06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전의 세계 경제 상황을 분석하고,
이 사태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가장 큰 원인이었던 모기지론이 어떻게
전세계적인 금융위기를 초래했는지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미국 내의 결과와 한국에의 영향을 소개한 후
결론으로 정리하여 마무리지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ⅰ. 사태 이전의 세계적 경제 상황
ⅱ. 진행 과정
ⅲ. 부실의 원인
Ⅲ. 결과
ⅰ. 미국 내 결과
ⅱ. 국내 영향
Ⅳ. 결론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미국의 주택담보대출 제도 중 하나인 모기지론은 대출자 신용상태에 따라 프라임, 알트-A, 서브프라임 이 3단계로 구분된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자금을 빌려주는 비우량주택담보대출로써, 1990년 저소득층이 주택을 구매하는데 가장 큰 애로사항이 월 이자보다는 주택가격의 계약금에 있음에 착안하여 모기지 관련회사들은 계약금을 줄이고 월 이자를 높이는 전략을 선택하였다. 그래서 계약금이 소규모거나 아예 없는 대신 이자율이 일반 모기지의 시장이자 +3% 내외였다. 금리는 다소 높지만 소득이나 자산증빙 없이 간단한 서류로 손쉽게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2006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전체 모기지대출의 20% 이상을 차지하였다.
2001년에 미국은 경기 침체기에 들어갔지만 그 여파는 장기화되지 않아서 경제적 모순은 해결된 것처럼 보였으며 오히려 주가가 다시 급격히 상승하고 소비 추세도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금리의 하락으로 주택시장이 활성화되며 경기회복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이 지연된 위기는 2006년 하반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주택 가격이 폭락하고 주택 시장의 침체가 발생하면서 격렬하게 폭발했다. 미국 내 기업들은 물론 해외 연계된 다른 금융기관들 역시 차례차례 영향을 받으면서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가 초래되었다.
작은 대출 종류 중 하나였던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어떻게 세계적인 위기를 만들고 어떻게 발발하였는지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Ⅱ.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ⅰ. 사태 이전의 세계적 경제 상황
장기적인 관점에서 브레튼우즈 체제 붕괴 이후 달러화를 기축통화로 하는 변동환율제 시행은 미국의 쌍둥이 적자와 미국가계의 과소비 및 과다차입을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특히 80년대 레이건 정부이후 통화 공급량은 지속적으로 늘어갔다. 통화량 증가에 따른 저금리는 80년대 후반 일본을 중심으로 달러 유동성과잉으로 인한 부동산 및 주가버블을 발생하게 하였고, 이러한 유동성과잉은 금융기관의 IB화와 더불어 버블을 가속화시키게 되었다.
참고 자료
곽수종, 삼성경제연구소, <주택과 사람들> no.208, 2007.
국제무역연구원 동향분석실,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과 우리 무역업계의 시사점>, 2007.
김성귀, 경기대 부동산금융투자 전공 학위 논문, 2009.
김영식 외 3명, <사회과학 명저 재발견 3>, 2012.
박은태, <경제학사전>, 2014.
이종권,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위기의 원인과 파급경로>, 한국사회과학연구원, 2008.
이헌영,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전개과정과 시사점(주요 금융위기 사례와의 비교)>, 2008.
장시복,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세계 경제의 위기>,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