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한반도 정책 발표 ppt입니다.
- 최초 등록일
- 2017.06.14
- 최종 저작일
- 2017.05
- 27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500원

소개글
중국의 한반도 정책 발표 ppt입니다.
양식을 제외하고 직접 만들었구요. 참고문헌 모두 담아놨습니다.
분단과 통일 이나 중국의 아시아정책, 신국제정책 과 관련되어 정성있게 담았습니다.
제가 조장맡아서 만들었던 발표 자료이고, 구매 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목차
1. 과거 중국의 한반도 정책의 변천 과정
1)한반도의 의미 (from 중국)
2)한중국교정상화 이후 양국관계 발전
3)후진타오 주석 시기
4)시진핑 주석 시기
5)중국과 한반도와의 관계에 영향을 준 사건
6)북한의 핵무장을 반대하는 이유
7)최종 분석
2. 중국의 한반도정책 변화 요인
1)북한의 핵실험 문제
2)한국과의 경제실리관계 > 북한과의 정치/군사적 유대
3. 신세계질서와 중국의 한반도 정책기조
1)중국의 신국제질서 정책
2)중국의 신국제질서 정책 (일대일로)
3)중국의 신국제질서 정책 (쌍궤병행 쌍중단)
4)중국의 신국제질서 정책 (신흥관계대국론)
5)중국의 신국제질서 정책 (포함외교)
6)중국의 한반도 정책 기조
7)앞으로의 중국은?
8)최종 정리
9)발표를 마치며… 개인적인 생각.
Reference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한반도가 21세기 동북아 해상교통의 요지로 인식
중국지도부는 현재 한반도를 미/일 세력이 들어올 수 있는 발판 역할(완충지대)로 인식
미국이 한반도를 러/중/일 을 견제할 수 있는 전략적 거점으로 취급하고 있다 라고 판단.
선린우호관계(노태우 정부)/협력 동반자 관계(김대중 정부)/전면적 협력 동반자 관계(이명박 정부)
1. 과거 중국의 한반도 정책 변천과정
-한중국교정상화 이후 양국관계 발전
1992
선린우호관계
(노태우 정부)
-한중 수교 (1992)
-경제통상 관계의 지속적인 확대,발전
-정치·군사·안보분야의 상호 협력관계
1998
협력 동반자 관계
(김대중 정부)
-21세기를 향한 협력 동반자 관계 설정
-증가된 규모의 경제관계. 지속적인 확대,발전
2008
전면적 협력 동반자 관계
(이명박 정부)
- 후진타오 정권과 함께 구체적인 추진 방안 합의
-다양한 교류 행사, 상호 이해증진 및 관계 심화를 추진
1. 과거 중국의 한반도 정책 변천과정
-후진타오 주석 시기
참고 자료
이상우, <G2시대의 대중 통일외교>, ≪新亞細亞≫, 제19권 2호(2012년 여름), pp.13-14.
鄭次根 (2014). 미 중의·신대국관계가 동북아에 미치는 영향. 동아인문학, 28, p.675-703.
http://blog.naver.com/gounikorea (통일부 공식 블로그)
鄭次根, 동아인문학회, 동아인문학 21, 2012, 275-306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중국과 중국학 23, 2014.9, 145-176 (32 pages)
이희옥, 중국의 신형대국론과 한중관계의 재구성, 중국학연구 67집, 2014, 261~280-서상문,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의 지속과 변화- 역사와 현실, 전략연구 통권 제63호, 2014.07, 65-103쪽.
〔사설〕중국의 한반도 정책 변화에 주목한다, 경향신문, 경향 국제칼럼, 2013.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