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완대체요법, 정의, 종류, 장점, 위험성, 문제점, 적응증
- 최초 등록일
- 2016.09.20
- 최종 저작일
- 2015.1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판매자hyeju****
18회 판매
목차
1. 보완대체요법이란?
2. 보완대체요법의 종류(미국립의료원 NIH)
3. 보완대체요법이 대두되는 이유
4. 보완대체요법의 장점(WHO)
5. 보완대체요법의 위험성(WHO)
6.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
7. 우울증
8. 불안
9. 물질 관련 장애
10. 섭식장애
11.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12. 치매
본문내용
1. 보완대체요법이란?
1) 대한의학회 보완대체의학실무위원회 : ‘현재 우리나라에서 인정되는 정통의학, 주류의학, 제도권 의학, 정규의학에 속하지 않은 모든 보건의료체제 및 이와 동반된 이론이나 신념, 그리고 진료나 치료에 이용되는 행위와 제품 등의 치유자원 전체를 통칭한다.’
2) WHO : ‘해당 국가의 전통의 일부가 아니고 주류 의료체계에 통합되지 않은 다양한 부류의 건강관리 행위’
3) 미국의 국립보완대체요법센터(NCCAM) : ‘현재 주류의학의 일부가 아니라고 여기는 다양한 의료 및 건강관리 체계, 시술 및 제품’
4) 이들 세 곳의 공통점은 ‘제도권 의학, 주류 의학이 아닌 것’이다.
2. 보완대체요법의 종류(미국립의료원 NIH)
1) 대체 의료 체계 : 현대의학과는 완전히 다른 이론과 시술 체계를 갖춘 것을 말한다. 동종요법, 자연요법, 중의학, 아유르베다, 인디언 의학, 티벳 의학 등이 포함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