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로의 시무책
- 최초 등록일
- 2002.12.01
- 최종 저작일
- 2002.12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시무 28조의 한문 원문과 함께 시무책에서 다루고 있는 고려사회에 대한 문제와 최승로의 사상에 대해 살펴보고 있는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2
Ⅱ 2
1. 시무책의 내용 2
2.시무책에서 다루고 있는 문제 13
3.최승로의 사상 14
Ⅲ.결론 16
Ⅳ.참고문헌 16
본문내용
고려를 규정짓는 여러 잣대 중에 고려를 귀족사회라고 보는 관점이 있다. 물론 고려의 건국부터 시작하여 멸망 이전까지 귀족중심의 사회가 이루어졌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왕권이 고려를 건국한때부터 고려의 집권을 위한 준비단계 혹은 호족 연합 정권기 라고 구분한다. 우리는 이미 고려 전기에 걸친 상층지배구조의 변화에 대해서 공부한바 있다. 특히 성종 이전의 광종에서는 왕권을 강화해 나가면서 호족세력이 약화되어 귀족정치로의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는 점을 개혁의 내용과 의의 등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 광종의 개혁이 귀족사회로의 토대가 되었다면 그럼 귀족사회로의 시작을 알리는 계기는 무엇일까? 여기서 성종 때의 최승로가 5조정책론과 함께 봉사한 시무책을 그에 대한 해답으로 잡고 시무책 본문을 중심으로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최승로는 신라말에 태어나 신라가 고려에 항복함에 아버지를 따라 고려로 들어간다. 6두품계열의 출신으로 당시 유행이었던 당나라 유학파가 아닌 순수 국내에서 공부한 인물이었다. 이미 12세때에 관직을 받았다고는 하나 신빙성이 없는 이야기이고 하여간 최승로는 태조 연간에서부터 시작하여 성종 즉위까지 고려의 조정에서 신료 로서 실질적인 정치의 경험을 쌓게 되다. 특히 광종대의 그의 정치적 경험은 후의 시무책을 구상하는데 있어서 많은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참고 자료
이기백 외 공저, 『최승로 상서문 연구』,서울: 一潮閣.1995
하현강, 『한국 중세사 연구』,서울: 一潮閣.1996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13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서울: 국사편찬위원회.1993
사회과학원 고전연구실,『고려사 제1책』,서울: 신서원.1991
이기백,『한국사신론』,서울: 一潮閣.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