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세 국어 음운의 음가와 음운변동, 음운변화를 공시, 통시적으로 정리해 놓은 것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중세 국어 음운
2.1. 음운 체계
2.1.1. 자음체계 2.1.2. 모음체계 2.1.3. 성조 체계 및 방점 체계
2.2. 음운 변동
2.2.1. 대치 2.2.2. 탈락 2.2.3. 첨가
2.2.4. 축약 2.2.5. 성조의 변동
2.3. 음운변화
2.3.1. 초성의 변화 2.3.2. 종성의 변화
2.3.3. 중성의 변화 2.3.4. 성조의 변화
3.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머리말
이 글의 국어의 음운사 전체에서 가장 확실한 자료를 확보한 시기인 15세기를 중심으로 중세국어음운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도록 할 예정이다. 「훈민정음」을 이해함으로 출발하여 당시의 음운체계를 개관하고. 음소들이 만날 때 일어나는 공시적인 음소의 변동을 15세기를 주된 범위로 하여 다루었으며, 16세기의 음운에 대한 설명을 주로 하여 시간을 따라 변하는 음운 변화를 다루었다.
기본적인 체계는 김성규(1996)의 체계를 따르되 비교적 간단하게 다룰 주 내용은 이기문(1998)의 『국어사개설』에서 언급된 수준과 분량으로 논의를 전개해나가도록 하겠다.
2. 중세국어음운
2.1. 음운 체계
이하에서는 훈민정음의 분류 방법에 따라 초성체계와 종성체계, 중성체계로 나누고 그 뒤에 개별 문자들의 음가론을 진행시키도록 하자. 그 후 방점과 관련된 성조체계에 대해 기술하도록 하겠다.
2.1.1. 자음체계
2.1.1.1 훈민정음의 초성체계
- 훈민정음의 본문인 <예의(例義)>에는 17자의 초발성자가 예시 되어 있다.
아음(牙音)
설음(舌音)
순음(脣音)
치음(齒音)
후음(喉音)
반설음(半舌音)
반치음(半齒音)
ㄱ
ㄷ
ㅂ
ㅅ,ㅈ
ㆆ
ㅋ
ㅌ
ㅍ
ㅊ
ㅎ
ㆁ
ㄴ
ㅁ
ㅇ
ㄹ
ㅿ
- ‘ㄱ,ㄷ,ㅂ,ㅈ,ㅅ,ㅎ`의 병서자가 있음이 문자의 예시 없이 기술
- <제자해(制字解)>의 23자의 청탁 (淸濁)에 의한 분류
전청(全淸)
ㄱ,ㄷ,ㅂ,ㅈ,ㅅ,ㆆ
차청(次淸)
ㅋ,ㅌ,ㅍ,ㅊ,ㅎ
전탁(全濁)
ㄲ, ㄸ, ㅃ, ㅉ, ㆅ
불청불탁(不淸不濁)
ㆁ,ㄴ,ㅁ,ㅇ,ㄹ,ㅿ
- 현재 사용되지 않는 것: ‘ㆆ, ㆅ, ㆁ. ㅿ, ㅸ, ㅼ, ㅶ, ㅴ, ㆀ’ 등, 우선적으로 이들 문자의 음가를 추정
1) 초성자의 음가
(1) ‘ㆆ’과 ‘ㆁ’의 음가
① ㆆ의 음가
- ㆆ는 훈민정음의 초성체계에 들어 있으면서 실제는 고유어의 초성 자리에 올 수 없었다.
참고 자료
고영근(2009), 개정판 『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 집문당.
권재선(1993),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우골탑.
김성규(1996),「중세국어음운」, 『국어의 시대별 변천 실태 연구1 중세국어』, 국립국어원.
박창원 편(2002), 「음절말 자음체계」,『국어 음운 연구사 (1)』, 태학사.
(2002), 「중세국어 모음체계」,『국어 음운 연구사 (1)』, 태학사.
이관규(2008), 개정판 『학교문법론』, 월인.
이기문(1998), 『신정판 국어사개설』, 태학사.
허웅(1985), 『국어 음운학』, 샘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