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리튬이온전지 실험결과 문제

*재*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9.12.11
최종 저작일
2009.11
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리튬이온전지관련 실험 문제

목차

1. 리튬이온전지의 구성요소와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현재 상용화된 셀에 쓰이고 있는 LiCoO2(양극)와 Graphite(음극), Li 메탈의 이론용량을 구하시오.
3. LiCoO2의 실제 전지에서의 용량은 이론 용량의 50~60% 밖에 사용할 수 없고, 또한 충전함에 따라 LiCoO2의 부피가 증가한다.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4. 밑에 그림과 같이 Graphite를 음극의 경우 충방전 시 세 번의 potential plateau가 생기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1. 리튬이온전지의 구성요소와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a) 양극 : 위 그림의 LiCoO2에 해당하고, Li+ 이온을 내 보냄으로서 Co가 전자를 내 놓는 역할을 하게 하여 전자의 이동을 유도한다.
b) 음극 : 위 그림의 C 에 해당하고 양극으로부터 Li+ 이온을 받아들여 층상 구조상의 각 층에 interstitial로 가지고 있다가 다시 방전시 돌려 보냄.
c) 전해질 : 양극과 음극 사이로 이온이 이동할 수 있도록 Liquid, Gel, Solid 형태의 화합물을 씀.
d) 분리막 : 양극과 음극이 직접 붙어버리면 “펑” 하기 때문에 양극,음극의 접촉을 막는 용도로 사용함. PE or PP 쓴다.
2. 현재 상용화된 셀에 쓰이고 있는 LiCoO2(양극)와 Graphite(음극), Li 메탈의 이론용량을 구하시오.
1몰의 물질로 얻을 수 있는 전기량 = 1 Faraday x 1mole
= 1.602x 10-19 C(A·s) x 6.023x1023
= 9.648846x 104 A·s/mol
= 9.648846x 104 A·s/mol ÷ 3600 h/s
= 26.8023 Ah/mol
각 물질의 몰질량은 아래와 같고,
LiCoO2 = (6.941+58.93+15.99x2) = 97.851g/mol
graphite = 12.01 x 6 = 72.06 g/mol
Li = 6.941 g/mol
따라서 각각 물질의 몰질량으로 나눠주면...
LiCoO2 = 26.8023 Ah/mol ÷ 97.851g/mol = 273.9 mAh/g
graphite = 26.8023 Ah/mol ÷ 72.06 g/mol = 371.9 mAh/g
Li = 26.8023 Ah/mol ÷ 6.941 g/mol = 3861.4 mAh/g
3. LiCoO2의 실제 전지에서의 용량은 이론 용량의 50~60% 밖에 사용할 수 없고, 또한 충전함에 따라 LiCoO2의 부피가 증가한다.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Li+ 이온이 graphite의 층상 구조 사이로 들어가거나 다시 양극의 층상 구조 사이로 돌아갈 때 격자 사이사이에 골고루 퍼져서 들어가는게 아니라, 거리적으로 가까운 표면쪽에 국한되어 침투할 것이기 때문에, 층상 사이사이 격자에 모두 Li+이온이 들아갈 때 계산되어진 이론 용량에 비해서는 당연히 작은 수치가 나올 것이다. 물론 층상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놀고 있는 애들도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1. Properties of Capacity on Carbon Electrode in EC:MA Electrolyte II. Effect of Additives on Initial Irreversible Capacity Dong-Won Park, Woo-Seong Kim*, Dong-Un Son, and Yong-Kook Choi-2006.
2.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n the Anode Material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with Discharge Voltage- J.K Prak, T.H Han, D.C Chung, S.H Lim, B.S Han-2000
3. 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organic electrolytes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1. Characterization of passivating layer formed on graphite in alkyl carbonate solutions Shoichiro Mori *, Hitoshi Asahina, Hitoshi Suzuki, Ayako Yonei, Kiyomi Yokoto
4. T. Ohzuku, K. Nakura, T. Aoki, Electrochim. Acta 45, 151 (1999)
5. A. Lecerf, M. Broussely, J.-P. Gabano, US Patent 4,980,080 (Assigned by SAFT), Dec. 25, (1990)
6.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한국전자통신연구원.정보통신부2000

자료후기(2)

*재*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리튬이온전지 실험결과 문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