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STEAM 수업의 현장적용을 위한 교사의 자기반성적 실천에 관한 사례연구

꿈을이루는자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3.07.29
최종 저작일
2012.12
9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STEAM 수업의 현장적용을 위한 교사의 자기반성적 실천에 관한 사례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논문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3. 용어 정의
4. 연구의 한계점

Ⅱ. 이론적 배경
1. STEAM(융합인재교육) 교육의 동향
가. Steam 교육의 동향
나. STEAM 교육적용의 어려운 점
2. 반성의 의미와 수업일기
가. 반성의 의미
나. 수업일기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 연구 절차
2. 연구 대상
3. 연구 도구
가. 자기반성에 대한 분석틀
나. 현장적용을 위한 STEAM 자료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1. 교수지식
2. 교수전략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 학생용 학습자료

본문내용

미국의 STEM 교육 선구자는 Virginia Tech의 Sanders 교수이다. 2005년에 미국 Virginia Tech에서는 이미 대학원에 STEM 교사 양성 과정을 설치하여 새로운 모델의 교사 양성을 추진하고 있다. Sanders(2009)는 통합적 STEM 교육(integrative STEM education)이란 STEM 과목 중에서 둘 또는 그 이상 과목 사이에서 교수 학습을 탐색하는 접근 방법이라고 하였고, Sanders와 Wells(2010)는 STEM 교육의 핵심 전략은 기술/공학의 설계라고 하였다. 미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STEM 관련 교재 등은 대부분이 기술 교육학자들이 주도적으로 개발한 것이며, 이 교재의 내용에는 과학, 기술, 수학, 공학적 내용 요소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미국에서는 공식적으로 STEM 교육에 대하여 모든 연구와 교육 역량을 결집하고 있다. 그러나 STEAM 교육에 관한 최초의 논문이 미국의 학술대회에서 2007년 10월에 발표되었다. 즉 Virginia Tech의 대학원생인 Yakman과 한국교원대에서 1년 동안 연구교수로 갔던 Jinsoo Kim이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인기 있는 정식 스포츠 종목 중의 하나인 바둑(Baduk)을 주제로 하여 STEAM 통합교육의 방법을 제시한 것이 의미를 갖게 된다(Yakman & Jinsoo Kim, 2007. 10).

10년 전부터 우리나라 과학기술교육계에서도 과학학습에 대한 동기유발과 이공계 기피현상 해결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효가 없었고, 이에 교육과학기술부는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의 자산인 미래 과학기술 발전을 주도할 창조적이고 융합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 초중등 교육 단계에서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 Mathematics) 교육을 통해서 과학-기술-공학-수학의 학습내용을 핵심 역량 위주로 재구조화하여, 과목 간 연계와 예술적 기법을 접목하는 정책을 제안하였다.(과학기술부, 2010)

참고 자료

교육과학기술부 (2007). 2007 개정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 업무보고.
권순범, 남동수, 이태욱 (2012). STEAM 기반 통합교과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친 영향, 한국 컴퓨터 정보회 논문집, 17(2), 79~86.
김진수 (2011). STEAM 교육을 위한 피라미드 모형과 큐빅 모형, 한국현장 과학 교육학회 학술대회 심포지엄 주제발표 논문.
노진숙 (2008).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수학 부진아 학습 프로그램 의 사례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정애 (2011). 사토 마나부의 배움의 공동체와 행복교육 탐구, 한국일본교육 학연구 16(1), 31-48.
백윤수, 김영민, 노석구, 박현주, 정진수, 유은정, 이은아, 이동욱 (2011). 과학교 육 내용 표준 개발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과제 보고서.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서경혜 (2005).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05, Vol. 23, No 2, pp 285 ~ 310.
서주희 (2012).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 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보라, 오우상, 윤다혜, 이범석 (2012). 수학에 기반을 둔 STEAM 교수학습
내용 개발 : 건축 속 의 수학원리 탐구, 대한수학교육학회, 537-558.
안은경 (2010).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반성활동의 효 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유상택 (2006). 일본의 ‘배움의 공동체 운동’ 사례 연구, 한국교육연구 11(1), 85-110.
유신영 (2004).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반성적 수업분석 모형 개발,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효녕 (2011). 창의적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STEAM 교육: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세미나.
이성희 (2011). STEAM 교육을 통한 초등학생 환경소양 함양 연구, 한국환 경교육학회 58-61.
한혜숙, 이화정 (2012). STEAM 교육을 실행한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3), 573-603.
최정훈 (2011.7). 미래과학교육의 혁신: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STEAM 교육, 위즈덤 교육포럼.
한국교육개발원(2000). 제7차 중학교 수학 보충학습 프로그램.
Bean & Zulich (1989). Using dialogue journals to foster reflective practice
with preservice, content-area teachers. Teacher Education Quarterly, 16(1), 33-40.
Crotty, T. and D. Allyn (2001). Evaluating student reflections.
Reports-Descriptive (from Eric Resource).
Dewey, J. (1933). How we think ;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ve Process. Boston: D. C. Heath.
Dobbins, R. (1990). Developing critically reflective practitioner. A paper presented to the 20th Annual Conference of Australian Teacher Education Association, Adelaide.
England, A. and J. Spence (1999). Reflection: a guide to effective service learning. Linking learning with life. Clemson, SC: Clemson University.
Georgette Yakman, Jinsoo Kim (2007, 10). Using BADUK to Teach Purposefully Integrated STEM/STEAM Education, 37th Annual Conference International Society for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Atlanta, USA.
Hall, S. & McEntee, E. H. (1999). Reflection is at the heart of practice. Educational Leadership, 56(8), 34-37.
Polanyi, M. (1967). The tacit dimension. Doubleday: New York.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he Technology Teacher, 68(4), 20-26.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Schon, D. A. (1987a). Teaching artistry through reflection in action. In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Schon, D. A. (1987b).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Washington, D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Zeichner, K. M. and D. P. Liston(1996). Reflective teaching : An introduc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꿈을이루는자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소개
21년차 수학교육전문교사!!
1년동안 9등급 수포자를 3등급으로
만들었으며,
6개월간 5등급을 2등급으로
만들었으며,
Tesol Diploma를 가진
해외 국제학교에서
SAT 수학을 가르친
English Speaking 을 활용한
SAT 수학 전문교사!!
전문분야
자기소개서, 시험자료, 교육학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비공개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해당 판매자는 노하우톡 기능을 사용하는 회원입니다.노하우톡
* 노하우톡 기능이란?노하우 자료를 판매하는 회원에게 노하우 컨설팅, 활용방법 등을 1:1 대화를 통해 문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STEAM 수업의 현장적용을 위한 교사의 자기반성적 실천에 관한 사례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