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lcium Alginate의 킬레이트 결합을 이용한 수중의 질산성 질소 제거에 관한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유화학회
ㆍ수록지정보 : 韓國油化學會誌 / 33권 / 4호
ㆍ저자명 : 김태경, 송주영, 김종화
ㆍ저자명 : 김태경, 송주영, 김종화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응집제로 calcium alginate를 이용한 질산성 질소 처리에 관한 연구이다.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역삼투법, 이온교환수지법, 전기투석법, 생물학적 방법 등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응집 침전시키는 방법으로서 질산성 질소를 처리하고자 하였다. 응집제로 이용한 calcium alginate가 킬레이트 결합을 형성하여 질산성 질소를 응집 침전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응집제의 성분, 응집 반응시간, 응집제의 몰비, 응집제의 주입율에 따라 질산성 질소가 제거되는 경향을 보았다. 또한 FE-SEM과 EDS(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를 통하여 응집반응 후 침전물의 구조 및 구성성분비를 분석함으로써 질산성 질소가 Calcium-nitro-alginate 형태로 제거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반응시간은 60분, 응집제의 몰비는 1:1일 때, 응집제의 주입율은 합성폐수의 2 %일 때 질산성 질소의 제거율이 최대 56.7 %로 나타났다.영어 초록
This study is on the denitrification process using the sodium alginate and CaCl2 as a flocculant. Removal techniques of nitrate nitrogen from waste water are reverse osmosis, ion exchange, electro dialysis and biological method etc. We tried to remove nitrate nitrogen with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method in the present study. Calcium alginate is expected to form a chelate bond with nitrate nitrogen in the solution. So the effects of flocculantt component, flocculation reaction time, molar ratio of the flocculant, flocculant injection rate are studied to determine the best removal rate of nitrate nitrogen. In addition, we tried to determine the nitrate nitrogen removal mechanism by analyzing the structure and component ratio of the configuration after the agglutination precipitate by FE-SEM and EDS. As a result, the nitrate nitrogen removal mechanism is turned out to form calcium-nitro-alginate, and the best mole ratio of flocculating agent is 1 : 1, the injection rate of the flocculant was up to 2%, the removal rate of the nitrate nitrogen to be 56.7% in the synthetic wastewater.참고 자료
없음태그
"韓國油化學會誌"의 다른 논문
Dodecyl phenol novolac 에폭시수지의 합성과 도막물성12페이지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한 폴리에틸렌 왁스의 중합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8페이지
개망초꽃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활성9페이지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N-Acetyl-D-glucosamine에 관한 연구11페이지
Antibiotics Assay of Doxycycline in Food System using S..8페이지
Synthesis of IZTO(Indium Zinc Tin Oxide) particle by sp..7페이지
추출 용매에 따른 아사이 베리(Euterpe oleracea Mart.)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 활성..10페이지
초산과 Cyclodextrin으로 포접한 홍삼 추출액의 Ginsenoside 조성과 맛의 변화11페이지
구절초 꽃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9페이지
아크릴계 공중합체에서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에 의한 물리적 특성 변화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