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정신건강토탈케어서비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범*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3.02.24
최종 저작일
2017.05
2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10,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정신건강토탈케어서비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1.연구의 배경
2.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정신건강토탈케어서비스

2.직무스트레스
1) 직무스트레스의 개념과 선행연구
2)역할갈등의 개념과 선행연구
3)역할모호성의 개념과 선행연구
3.직무소진의 개념과 선행연구
4.이직의도의 개념과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연구가설
2.연구대상 선정 및 자료수집
3.측정도구와 방법

Ⅳ. 실증분석
1.조사대상의 인구통계적 특성
2.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3.변수 간의 상관분석
4.가설검증
1)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2)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1.연구결과의 요약
2.연구의 시사점

Ⅵ. 참고문헌

Ⅶ. ABSTRACT

본문내용

국문초록
정신건강토탈케어서비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는 질환과 장애라는 이중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정신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그 과업이 일상생활의 케어에서 위기관리까지 포괄하는 1:1 맞춤형 방문 서비스의 성격을 띄고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사가 전형적으로 겪는 직무스트레스에 더 노출되어 있다. 특히 정신건강토탈케어서비스 사회복지사는 이용자들의 위기개입상황에 빈번히 개입하고 극단적인 경우 이용자들의 자살을 고스란히 수용해야 하는 극도의 스트레스와 감정적 소진을 경험해야 한다. 이에 연구의 목적을 정신건강토탈케어서비스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설정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하나인 정신건강토탈케어서비스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80명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얻었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역할갈등은 직무소진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역할갈등은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역할모호성은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건강토탈케어서비스 종사자들이 장기간동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들에 대한 처우에 대한 인식개선이 시급하다라는 것을 시사한다.
주제어 : 정신건강토탈케어서비스,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탈원화’, ‘탈시설화’는 1950년대부터 선발 국가들에서 확산되기 시작한 새로운 이념으로서 시설에서 지역사회로 이동하기 위한 기본적인 주거대책에서부터 일상생활의 케어, 고용지원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이다(박경수 외, 2012). 특히 “정신건강토탈케어서비스”는 이 탈원화를 바탕으로 정신질환자의 조기 발견과 사례관리를 통해 입원을 예방하고 지역사회에 적응하여 취업 및 자립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대전광역시에서 보조금 지원방식이 아닌 바우처 제공방식으로 사업진행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참고 자료

강제상, 고대유(2013).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한국정책과학학회보」, 17(3), 137-161.
고수정(2005). “사회복지전문인력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영향요인에 관한연구”,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김병수(2013). “지역사회거주 정신장애인의 사례관리서비스가 재활성과 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 토털케어서비스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남희은 외(2015). “사회복지사 소진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2), 1045-1053.
박경수 외(2012). 「장기재원 정신장애인의 당사자 관점에서의 탈원화 실태 조사」, 서울특별시
박길태, 김세영(2014). “조직문화 및 직무스트레스, 소진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35, 137-158.
박성주(2001). “사회복지 기관장의 리더십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보건복지부(2009). 「지역개발형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
배의식 외( 2013).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이용시설과 생활시설 사회복지사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5(1), 59-81.
서혜미(2002).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희자, 권현수(2013).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긴장,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24(3), 361-383.
송승숙, 이동수(2013).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 32(2), 83-108.
신성철, 이종춘(2014). “사회복지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청소년보호지도 연구」.
신화식(2010).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안숙(2008).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2(4), 367-388.
양점도, 정영주(2012).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복지행정논총, 22(1), 177-197.
웰페어 뉴스(2013), http://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8171
유진선(2008). “부랑인시설 종사자의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이 전문직업 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혜미(1996).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예측에 있어서의 직무스트레스, 개인적 특성과 대처행동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2, 231-280.
이동수(2009).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소진요인이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 동에 미친 영향”, 2009년도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593-609.
이명신(2004). “사회복지사의 소진과정(Burnout Process) 모델 : 직업관련 스트레스 요인, 직무스트레스와 전문직효능성에 의한 소진 경로분석,” 한국사회복지학, 56(4), 5-34.
이영미, 성규탁(1991). “우리나라 사회사업가들의 소진(burnout)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18, 25-60.
이은희, 김경호(2008).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연구, 16.
이종국 외(2001). “정신건강에 종사하는 인력들의 소진(Burnout)의 현황과대책”,용인정신의학보 8(1), 25-43.
이재원(2011).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사회서비스정책론」 나눔의 집.
정소양(2014). “정신질환자토탈케어 서비스 현황 및 이용자 만족도에 관 한 연구”
조민영(2007). “국제회의 전문 기획사의 조직몰입,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림국제대학교 대학원.
진아경 외(2013). “2013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서울시 정신질환자토 탈케어서비스 매뉴얼”, 서울시 복지재단.
최소연, 장현숙(2012).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회복지사의 업무관련특성과 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3, 297-318.
최희철(2011).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역할 요인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영적안녕감의 효과: 서울·경인지역 한국기독교사회복지관협회 소속기관을 중심으로,” 교회사회사업, 15, 7-43.
하미승, 권용수(2002). 공무원 직무스트레스의 유발요인 및 결과변수에 관 한 연구: 중앙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행정연구, 11(3), 215.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3). “감정노동의 직업별 실태”, KRIVET Issue Brief, 16
홍석자, 서상범(2011).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환경과 개인적 성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2(4), 187-216.
황정임(1997). “조직특성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Bluedorn, A. C. (1982). “The Theories of Turnover: Cause, Effects, and Meaning”. S. B. Bacharach, (ed).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Organization, Greenwich, Connecticut: JAI Press.
Cherniss (1980). “Professional burnout in the human services organization”, NY: Praeger Pubishers.
Faber, B. (1982). “Introduction: A Critical Perspective on Burnout, In B. A. Farber(Ed.), Stress burnout in the Human Service Professions”, New York: Pergamon Press.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syndrome”, Journal of Social Issues, 30: 159-165.
Glisson, C. & Durick, M. (1988).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3(1), 61–81.
Ivancevich, J. M. & Matteson, M .T. (1980). Stress and work: A mana gerial perspective. Tucker, GA: Scott, Foresman and Company.
Johnson, S., Cooper, C., Cartwright, S. Donald, I., Taylor, P. and Millet, C. (2005). “The experience of work-related stress across occupation”,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2).
Katz, D. & Kahn, R. L. (1964),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 In Biddle, J. B. & Thomas, E. J. (1966), Role Theory: Concepts and Research, John Wiley & Sons, 277-282.
Leiter, M. P. (1993). “Burnout as a Developmental Process: Consieration of Models,” 237-250. in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edited by Schaufeli et al., Washington, D. C.: Taylor and Francis.
Lloyd, C., King R. & Chenoweth, L. (2002). “Social Work, stress and burnout: a review. Journal of Mental Health, 11(3).
Maslach, C. (1993). “Burnout: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pp. 19-32 in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edited by Schaufeli et al., Washington, D. C.: Taylor and Francis.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 99-113.
Maslach, C., & Jackson, S. E. (1985). “The role of sex and family variables in burnout”. Sex Roles, 12, 837-851.
Mobley, W. H. (1982).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Addison-Wesley Publishing Co., Reading.
Pines. A. & Aronson. E. (1988). Career burnout: Cause and cures. New York: Trench Trubner.
Poter, L. W, Steers, R. M., Mowday, R. T., & Boulian, P. V. (1974).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 603-609.
Price & Mueller (1981). Professional Turnover: the Case for Nurses. Ames: Iowa State University.
Rizzo, J. R., House, R. J. and Lirtzman, S. I. (1970),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5(2), 150-163.
Schuler, R. S. (1980). “Defini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stress in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April 1980.
Selye, H. (1984). “Stress Without Distress”. Philadelphia, U.S.A: J.B. Lippincott Co.
Szilagyi, A. D., Jr. & Wallace, M. J., Jr. (1990). “Organizational Behavior and Performance”, Harper Collins Publishers.
*범*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정신건강토탈케어서비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