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종모우에 있어 정액 채취시 의빈대 혹은 의빈우 이용이 정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주)코리아스칼라
- 최초 등록일
- 2016.04.01
- 최종 저작일
- 2006.06
- 6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4,0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ㆍ수록지정보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21권 / 2호
ㆍ저자명 : 이성수, 정준, 박노형
한국어 초록
한우 종모우에 있어 정액 채취시 승가 조건(의빈우 혹은 의빈대)이 정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의빈우 승가 종모우 21두, 의빈대승가 종모우 9두 등 보증 종모우 30두를 공시하여 연구하였다. 정액은 일 간격으로 채취하였으며 채취 당일 1시간 간격으로 총 2회 정액 채취하여 6개월간 정액성상을 조사하였다. 의빈대 승가 종모우가 의빈우 승가 종모우보다 1차 및 2차 정자농도에 있어 유의적으로 높아(p<0.05) 1차 및 2차 총 정자수에서도
영어 초록
Thirty heads of proven bulls were us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mounting conditions (dummy cow vs. teaser bull) on semen characteristics in Hanwoo. Semen was collected from bulls daily two times with 1 h interval every days for 6 months. Bulls mounted dummy cow (BDC) had higher both the and the sperm concentrations than in bulls mounted teaser bull (BTB), resulting in more total sperm number (p<0.05). The total sperm number in the collection was the highest in BDC with collection interval of 5 days. Total sperm number in the collections tended to be more in the BDC of years old and BTB of years ol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men collection using dummy cow has a better effect than teaser bull on semen characteristics.
참고 자료
없음
"Journal of Embryo Transfer"의 다른 논문
더보기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