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우언과 성리학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0.01
41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7,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수록지정보 : 퇴계학논집 / 7권
저자명 : 윤주필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정도전과 권근: 창의적 우언과 교학적 도상의 시작
3. 조식과 이황: 직관적 혹은 학문적 우언·도상의 분화
4. 김우옹과 임제: 철학담론으로서 우언 서사의 개척과 한계
5. 마무리

한국어 초록

본고는 조선전기 철학담론으로서의 우언과 도상을 살피면서 우언과
성리학의 관련성을 점검하였다. 여기서 철학담론이란 어떤 철학적 인식
이 문학적 표현과 역사적 사실 속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를 지칭한다.
정도전은 <謝魑魅文> <心問天答> <心氣理篇> 등의 해당 작품을 남
겼다. 이것들은 작가의 사상적 결단, 사회적 불평등에 대처하는 인간의
주체성과 책무, 불교의 심과 도교의 기에 대한 리의 포괄성과 근원성을
환유하였다. 권근은 조선 신유학의 방향을 사회적 제도적 관심보다는 성
리학적 수양론에 두고 입학도설 등을 통해 교학적 논설을 폈다. 특히
<天人心性合一之圖>는 사람의 형상 속에 천명과 인심을 함께 배치하고
마음의 여러 요소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도상성이 돋보인다. 조식은
<杏壇記> <陋巷記> <神明舍圖銘> 등에서 철학담론의 우언 글쓰기를
시도하였다. 앞의 두 작품은 작가가 젊은 날 깨우쳤다는 이윤의 뜻과 안
연의 배움을 환유한 것이다. 맨뒤의 것은 도상(圖像)과 명문(銘文)을 통
해 마음을 ‘신명의 집’으로 환유하고, 깨어 있는 밝은 정신이 사람 몸의
안팎에서 어떻게 유지되고 작용하는지를 우의적으로 표현했다. 이황은
<천명도설>의 수정 작업을 통해 ‘공경함’이란 ‘성(性)’을 찾는 작업이며
‘정(情)’을 ‘성’에 의거해 견제하는 일로 나타내었다. 또한 학문적 논쟁을
농부와 목수의 일에 비유하면서 자신의 학문 태도를 옹호하였다. 김우옹
은 도상우언 <신명사도명>을 근거로 천군이 신명전에 즉위하여 나라를
다스린다는 서사우언 <天君傳>을 지었다. 전체적으로는 경(敬)-성(誠)-
의(義)의 수양론적 과정을 계기적 사건으로 묘사하였지만, ‘게으름’과 ‘오
만함’을 반란의 괴수로 의인화하고 ‘양심’과 ‘뜻’을 외로운 충신과 용맹스
러운 장수의 보조인물로 추가하였다. 임제는 <愁城誌>를 통해 <천군
전>을 계승하면서도 단순한 수양론의 수준을 넘어서 모순된 역사와 강
개한 정서를 환유함으로써 심각한 문제의식을 제기하였다. 사람의 감정
이 나름대로 정당함을 인정하면서도 ‘삶의 의지’[生意]라는 주체적 역사
관을 도출하면서 우언 소설의 새 영역을 개척했다.
조선전기에서 우언의 철학담론은 두 부류의 전통을 지니고 전개되었
다. 실천적 경향이 강한 철학자들에게 해당 작품이 많았던 비해 이론적
철학자들에게는 퍽 적었다. 전자는 우언글쓰기를 적극적으로 구사하여
창의와 직관적 사유를 나타내며, 주체적 심리 수양론과 실천적 역사 의
식을 환유하였다. 또 기꺼이 앞선 시대의 우언작품을 반의 모방하고 우
언소설과 같은 새로운 양식을 개척하는 등의 적극성을 보였다. 이에 비
해 후자는 성리설의 교학적 도구로서 활용하거나 논쟁적 학문태도를 옹
호하는 데 활용하는 정도에 머물러서 보수적인 경향을 드러냈다.

영어 초록

In this study I checked a connetion between allegory and
Neo-Confucianism, while researched several allegorical works and
iconographies as a philosopical discourse in former period of Choson
Dynasty. Here so-called 'philosopical discourse' indicates the texts that a
philosopical knowledge is included in literary expression and historical
facts.
Joeng, Do-jeon leaved several relevant works of <Essay on thanks the
ghosts> <Mind asks and Heaven replies> <Piecies of mind, universal
spirit, and reason> etc. These metonomized the author's ideological
determination, human identity and duty through which one can meet
social unfairness, and comprehension and rootedness of Confucianism's
reason against Buddism's mind and Taoism's universal spirit.
Kwon-Geon made 《Introdution to Neo-confucianism's study with the
charts & explainations》, through which he was concerned in the theory
of mind's cultivation than in the sytem of society. Cho-Sik allegorically
wrote or drew the philosopical discourse in his works of <A narrative
on the platform surrounded with apricot trees> <A narrative on an
humble alley> <A iconography & inscrived aphorisms of holy spirit's
dwelling>. The two ones of the former is to metonomize Yi-Yoon(伊尹)'s
dream and An-Yeon(顔淵)'s study which the author has perceived in his
youth. The last one of the latter is to metonomize the mind as a holy
spirit's dwelling through a icongraphy & inscrived aphorisms, to
represent allegorically how awoken bright mind maintains and functions
in or out of our body. Lee-Hwang modified <A Chart & expalnation on
Heaven's misson>, in which he understanded devotion as the process of
seeking the original nature, checking the emotion by it. Also he
defended his own controversy attitude of study while used a metaphor
to compare the dipute of scholar as the job of a farmer or carpenter.
Kim, Woo-ong wrote <A Biography of Heaven's King> as a allegory of
narrative, which based on <A iconography & inscrived aphorisms of
holy spirit's dwelling> as his master's allegory of icongraphy. Lim-Se
wrote <Recording on a castle of worry> also as a allegory of narrative,
which suceeded to Kim's work but raised the common level of mind's
cultivation through the metonomy of controdictory history and lamented
emotion.
There are two sorts of tradition suceeded in the philosopical discourse
of allegory in the former period of Choson Dynasty. The practical
philosopers had many appropriate works, but the theoritical ones had a
few. The former were keen on allegorical writing through which they
exercised their ingenuity, represented the intutive thinking, and
menotomized the initiative cultivation of mind and active understanding
of history. Also they developed positively new style of allegory, while
were willing to parody after the classical allegories. In comparision with
it, the latter showed their conservative tendencies towards which they
used the works merely as a instruction of mind's cultivation or a
defense of controversy study.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조선 후기 도교문학의 역할 11페이지
    이에 대해 정민도 흔히 조선조가 성리학 일변의 유교 국가였음을 들어, 문학에 ... 어떠한 계기로 사상적 굴절을 겪었다고 하더라도 그들의 정신세계가 유가의 성리학적 ... 관심을 보인 것이라든가 율곡이 老子의 언론을 발췌하여 주석한 것 등은 성리학
  • 파일확장자 心性圖說의 圖像學的 意味와 心性寓言小說 (심성도설의 도상학적 의미와 심성우언소설) 35페이지
    성리학에서는 ‘심성의 문제’를 가장 본질적인 인간 문제로 이해했으며, 인간 ... 매우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심성의 문제를 다룬 심성도설들은 성리학의 ... 보여주고 있어 비교연구가 필요하며, 세계문학사에서 ‘신 학적 담론’이 ‘도상학적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우언과 성리학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