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인의 영화 취향 구조 : 영화취향을 통해 드러나는 한국사회의 상징적 배제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1.07
2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수록지정보 : 여가학연구 / 9권 / 1호
저자명 : 권혜원, 이명진, 최샛별,

목차

Ⅰ. 서 론
Ⅱ. 영화취향과 상징적 배제 연구
Ⅲ. 한국 영화의 중간예술적 위치와 영화 연구의 흐름
Ⅳ.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Ⅴ. 결과
Ⅵ.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대중적인 여가 매체 중 하나인 영화 취향의 구조를 통해 한국사회의
상징적 배제의 모습을 살펴본다. 영화 취향을 연구한 한국 선행연구들이 기초로
하고 있는 피터슨과 컨(Peterson and Kern, 1996), 브라이슨(Bryson, 1996)의 연구
와 함께 바넷과 앨런(Barnett and Allen, 2000)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활
용한 영화 취향의 측정방식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영화 장르에 대한 선호와
혐오의 폭을 통해 영화 장르 취향의 관용성을 측정하는 방식이고(Bryson, 1996;
Peterson and Kern, 1996), 두 번째는 국내/국외의 영화 국적과 예술성/상업성/
영화사적 의미의 영화 특성의 구분에 따라 개별 영화의 관람을 측정하는 방식이
다(Barnett and Allen, 2000). 분석 결과, 문화적으로 배제된 집단(고령자, 저소득
자, 저학력자)일수록 선호하는 영화장르의 수가 적고, 혐오하는 영화장르는 많았
다. 또한 상층계급일수록 한국 상업성영화와 한국 예술성영화를 더 많이 관람하
며, 고급예술에 친숙할수록 국외 상업성영화, 국외 예술성영화와 국내외 영화사적
의미를 가진 영화를 더 많이 관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에서 대중문화
의 영향력이 점차 강력해지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대중적인 여가활동의 하나인
영화 취향이 한국사회의 상징적 배제를 드러내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밝힌
다.

영어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social groups in Korea distinguish themselves in the
field of movies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form of popular culture in the
Korean society. Based on previous studies such as does of Peterson and
Kern(1996), Bryson(1996) and Barnett and Allen(2000), this study utilizes two
way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film taste in Korean society. First method is
analyzing the tolerance in movie taste through the range of film genres people
like/dislike(Bryson, 1996; Peterson and Kern, 1996). Second method is measuring
the patterns of film watching practices according to blockbuster/artistic/classic
characteristic of domestic/foreign movies(Barnett and Allen, 2000). As a result,
culturally excluded groups (old age, low income, less educated) tend to have
less preferred movie genres while have more genres which they do not favor.
On the other side, groups from higher class tend to favor Korean blockbusters
and art films. Moreover, groups which are closer to high-class art tend to view
more foreign blockbusters, foreign art films, and classical domestic/foreign films.
In that popular culture expands its territory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is study suggests that movie taste within popular culture is also a significant
index to discover symbolic exclusion by diverse social groups in Korea.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인의 영화 취향 구조 : 영화취향을 통해 드러나는 한국사회의 상징적 배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