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응급 및 재난간호 요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재난예방대비
1) 국민행동요령
2) 준비점검
3) 자율안전점검
4) 재난훈련
2. 재난심리상담
1) 심리회복지원
3. 응급의료체계
1) 정의
2) 운용단계
3) 구성요소
4. 재난 대응 체계
1) 재난
2) 재난 등에서의 의료대응 단계, 기관별 주요 활동
3) 재난 보고 체계
4) 재난 시 중증도 분류
5. 주요 사업
1) 응급의료 통계조사
2) 응급의료정보망 구축사업
3) 응급의료종사자 전문화 교육
4) 국내외 재난 의료지원
5) 중앙 응급의료상황실
6) 응급의료기관 평가
7) 닥터헬기
8) 기타사업
참고문헌
본문내용
⑴ 자연재난행동요령
① 태풍
-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은 미리 결박하고, 창문은 창틀에 단단하게 테이프 등으로 고정하기
- 자주 물에 잠기는 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등의 위험한 곳은 피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
- 공사자재가 넘어질 수 있으니 공사장 근처에 가까이 가지 않기
② 호우
- 하천 범람, 산사태, 침수 등을 통해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기에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대비하기
- 자주 물에 잠기는 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등의 위험한 곳은 피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
- 공사자재가 넘어질 수 있으니 공사장 근처에 가까이 가지 않기
③ 대설
- 산간 고립 우려 지역에서는 식량, 연료 등 비상용품을 준비하기, 집 앞 눈을 자주 치우기
- 개인 차량 이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차량 운행 시 저속 운행과 안전거리 확보
- 스노체인, 염화칼슘, 삽 등 자동차 월동용품을 준비하기
④ 폭염
- 여름철 PM 14:00~17:00 사이는 가장 더운 시간으로 실외 작업은 되도록 하지 않기
- 여름철에는 음식이 쉽게 상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 오랫동안 방치된 것은 먹지 않기
- 더위로 인한 질병(땀띠, 열경련, 열사병, 울열증, 화상)에 대한 증상과 대처 방법을 사전에 알아두기
⑤ 홍수
- 갑작스러운 홍수가 발생하였으면 높은 곳으로 빨리 대피하기, 침수된 지역에서 자동차를 운전하지 않기
- 홍수 예상 시 전기차단기를 내리고 가스 밸브를 잠그기, 비탈면이나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지역에 가까이 가지 않기
⑥ 기타
- 강풍, 한파, 지진, 화산폭발, 해수면상승, 자연우주물체추락, 풍랑, 해일, 가뭄, 산사태, 낙뢰, 황사, 지진해일, 침수
- 자연재난 발생 시 TV, 라디오, 스마트폰 등에서 기상상황을 수시로 확인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기
⑵ 사회재난행동요령
① 화재
- 화재가 울릴 때: 비상소집 → 대피방법 결정 → 신속히 대피 → 119 신고 → 대피 후 인원 파악
- 불이 난 것을 발견하면 “불이야!”라고 소리치거나 비상벨을 눌러 주변에 알리기
- 불길이 커져서 대피해야 할 경우 젖은 수건 또는 담요 활용하여 계단 통해 밖으로 대피
참고 자료
국민재난안전포털
응급의료포털
응급 및 재난간호(제5판), 이옥철,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