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작업치료 신경근육계질환 및 정신과질환 내용 정리
- 최초 등록일
- 2023.01.05
- 최종 저작일
- 2022.11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아동작업치료 신경근육계질환 및 정신과질환 내용 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신경근육계질환] 뇌성마비(CP)
(1) 뇌성마비 원인
(2) 장애정도분류
(3) 마비부위분류
(4) 근긴장도 분류
2. [신경근육계질환] 근이영양증(MD)
3. [정신과질환] 발달장애(DD)
(1) 지적장애
(2) ADHD
(3) 학습장애 (LD)
(4) 발달성 협응장애 (DCD)
(5) PDD
4. [정신과질환] 염색체 질환(Syndrome)
(1) 염색체 질환 특징
(2) 염색체 질환 종류
5. [정신과질환] 자폐범주성장애(ASD)
(1) 자폐범주성장애(ASD) 종류
본문내용
뇌성마비는 ¹출생 전 또는 출생 후의 뇌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진행성 운동장애이며, ²근긴장도 및 자세조절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아동기 뇌병변 장애이다. ³또한 남, 여의 출생비는 1.4:1로 성비 차이는 크지 않다. ⁴조산으로 인한 미숙아의 출생이 주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 뇌성마비 원인
뇌성마비의 원인은 출산 전, 출산 시, 출산 후 요인으로 나뉠 수 있다.
출산 전 요인으로 무산소증, 모체 감염, 산모의 내과적 질환, Rh 과민반응, 흡연 및 음주
출산 시 요인으로 허혈성 저산소증, 조산, 뇌출혈, 전치태반, 둔위분만, 겸자분만
출산 후 요인으로 두 개외상, 감염, 뇌혈관 색전, 수두증, 사고로 인한 무산소증 등이 있다.
<중 략>
- 마비부위분류
monoplegia (단마비) : 사지 중 한 곳이 마비
hemiplegia (편마비 또는 반신마비) : 한 측 팔, 다리가 마비
diplegia (양지마비 또는 양하지마비) : 양쪽 상지 또는 양쪽 하지가 좌우대칭적으로 마비
(팔보다 다리의 마비가 심함)
triplegia (삼지마비) : 한 쪽 다리와 양 다리가 마비
quadriplegia (사지마비) : 양쪽 팔, 다리가 모두 마비
+ paraplegia (하지마비) → 성인에서만
- 근긴장도 분류
유형
Spastic (경직형)
손상 부위
대뇌
특징
-생후 4개월 이후에 경직이 나타나기 시작
-CP 중 가장 많은 형태로 80% 정도 차지함
-근긴장도가 높아서 움직임이 딱딱함
-근육가동범위 ROM이 낮음
-구축 및 변형이 발생함
-전체손상 vs 부분손상으로 나뉨
→ 전체손상은 qudriplegia, 부분손상은 triplegia, hemiplegia, diplegia
-경직형은 정도에 따라 3가지로 나뉠 수 있다.
① Spactic mild : 휴식시 거의 정상 근긴장도, 빠른 움직임이나 큰 노력시 근긴장이 증가, 하지마비, 편마비 아동이 이에 해당함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