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제작에 대해 알고 싶은 모든 것' 강의 정리 (1~6주차)
- 최초 등록일
- 2021.03.20
- 최종 저작일
- 2020.04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000원

소개글
"영화제작에 대해 알고 싶은 모든 것' 강의 정리 (1~6주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CH.1-1
1. 사진의 발명
사진이란? :그리스어 “빛(phos)과 그리기(graphos)의 합성어로 빛으로 그리기, 빛의 그림이라는 뜻이다.
-영상의 발전과정에서 최초 혁명은 사진술의 발명
-(고대 그리스 시대): 사진기의 원리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 기록 ‘아리스토텔레스 시대’. 일식을 관찰하는데 사용하기도 했음,
-(중세시대) :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비롯한 화가들에 의해 밑그림의 윤곽을 그리는 도구로 발전. 외부에 있는 물체가 빛의 반사를 통해 작은 구멍 안에 들어오는 방법.
cf. 방안에 들어오는 물체만을 위한 것만 할 수 있어 한계가 있었으나 작은 상자를 들고 다니면서 최초의 사진기 기원 ‘바늘구멍 사진기’ 맺히는 상의 선명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오래 걸림 => 바늘구멍에 렌즈를 장착하게 됨 ‘카메라’
-카메라 옵스큐라 : 방(CAMERA)과 어둠(OBSCURA)의 합성어로 어두운 방이다. 즉 어두운 방과 바늘구멍, 상
-초기의 바늘구멍 사진기= 바늘구멍의 크기가 작아 장시간 노출의 문제
-16세기 이탈리아 과학자 지를라모 카르다모 (GIROLAMO CARDAN0) : 최초로 렌즈를 카메라 옵스큐라에 응용
2.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
①빛의 직진의 성질을 이용
②상하 반전의 상이 생김
3. 카메라 옵스큐라의 응용
1) 카메라 루시다 (CAMERA LUCIDA: 투명한 방)
: 휴대할 수 있는 카메라 옵스큐라, 중세시대에 화가들이 카메라 루시다를 이용 투시도, 조감도, 초상화 “그리기 위해 사용” . 그후 점차 렌즈가 달린 카메라가 발견됨
2) 원리 및 특징
①카메라 옵스큐라처럼 빛의 직진의 성질을 이용
②작은 홀을 통해 들어오는 빛은 어두운 상자 안에 거꾸로 상이 맺히게 됨
③초점면을 반투명 유리관을 사용
④휴대가 가능하게 작게 설계
CH1-2
1. 현대사진의 탄생배경
1) 산업혁명과 사진의 보급화 : 산업혁명 -> 신흥 부호층 “초상화에 대한 수요 증가”.
2) 회화로부터 그리고 회화에 까지 : 귀족들의 지원을 받던 미술가 => 귀속계층의 몰락으로 타격, 인물초상화 급하락, 사진의 보급화로 인물초상화의 수요 급감하였음.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