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간호역사 정리
- 최초 등록일
- 2020.06.15
- 최종 저작일
- 2019.04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한국간호역사 연도별 세부정리입니다.
목차
1. 조선시대 간호
2. 구한말 간호의 교육과 발전
3. 일정시대 간호의 교육과 발전
4. 해방 직후 및 정부수립기의 간호
5. 한국전쟁과 전후복구기 간호의 교육과 발전
6. 한국간호의 성장기(1960~1979년)
7. 발전기의 한국간호(1980년대 이후)
본문내용
Ⅰ.조선시대 간호
1. 조선시대의 간호상황
▶ 의료제도 : 고려시대의 제도 답습
① 태종
- 의약제민이라는 정책의 일환으로 의녀제도 창설
- 남녀유별의 도를 실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직업교육과 전문교육 실시(공적)
- 전문교육제도의 형태가 제도적으로 마련되었다는 것을 의미
▶ 의료기관 : 내약방, 전의감, 혜민국, 동서대비원, 제생원
- 공식적인 간호 인력을 양성한 기록은 없음
- 민간 차원에서 행해졌던 전통적인 간호와 돌봄에 대한 기록만 찾아볼 수 있음.
2. 의녀제도
① 발생원인 : 여성환자 발생 → 남자의원이 진찰X (엄격한 유교사상이 지배하는 사회였기 때문)
여성들도 병이 생겨도 남자의원에게 진찰 받는 것을 꺼려함 → 죽음을 선택
② 태종 6년(1406) : 의녀제도 신설, 제생원에서 의녀 양성 → 한양의 관비로 한양에서 활동
③ 세종 17년(1435) : 지방출신 의녀가 한양에서 교육 → 지방업무 수행, 의녀제도 확대
관비를 의녀로 만든 이유
● 관비는 국가 소유이므로 필요한 수만큼 선발 가능
● 천민신분이므로 남자의원이 교육 가능
● 국가가 필요로 하는 지역에 파견 되어 의료행위 수행
● 임의로 일을 그만 두지 못하게 규제 가능
1) 의녀의 교육 및 활동
① 초기부터 여성들의 질병치료, 산부인과적 치료 및 간호
② 의술교육ㆍ유학적 인성교육을 받음 → 궁중을 출입하면서 여성을 진료하는 활동을 했기 때문
③ 교육내용
- 진맥, 침구 : 질병에 대한 치료술
- 방서, 명약, 산서(여성의 해산)
④ 왕족이나 사대부 집안의 여성을 대상으로 의료행위
⑤ 질병치료 외에 사약전달, 질병의 예후관찰, 감찰업무
⑥ 제생원에서 담당하다가 세조 6년에 제생원이 혜민서로 통합
참고 자료
간호학개론 -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