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캠퍼스북
  •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연구자료 277 (기상환경 오존광화학) 기상환경 오존의 광화학적 이동과 오염현상

*오*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7.12.11
최종 저작일
2017.09
1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기상환경 오염물질과 오존
2. 기상환경 및 대기환경의 오존생성
3. 도시 미기상환경과 지상층 오 존농도
4. 아시아 권역의 미기상환경과 지상층 오존농도
5. 지구적 미기상환경과 지상층 오존농도
6. 대도시 미기상환경과 지상층 오존농도 예측
7. 결론
8. 참고문헌
9. 기술보문

본문내용

[요론]
오존, 메탄, 산화질소, VOCs(휘발성유기화합물), 미세탄소분진 등의 제거기술은 쉽지 않 지만, 국가나 대기업이 담당하기에는 그래도 시기와 시절이 지난 과제라고 할 수밖에 없다. IPCC에서 제시하고 있는 50종의 지상층오존 예측기술도 산지가 널브러진 우리나 라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인천 등의 대도시 환경과 지형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전연 없으므로, 한국적 환경에 최적이 되도록 약간씩 변형하고 개량해야 하는 과제가 기상전문 중소기업의 연구계발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오존, 산화질소, 황산화물, 일산화탄소, 적정작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지상층오존, 기상환경질, 건조침적]

1. 기상환경 오염물질과 오존
기상환경과 미기상환경의 대기오염 수준은 개발도상국 특히 한국과 중국 등의 중진국에 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중진국의 대도시 및 도시환경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주된 대기환경 오염물질 및 미기상환경 오염물질은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황산 화물(SOx),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다양한 크기의 미세분 진(PM: particulate matters), 지상층 오존(GLO: ground level ozone) 등으로서 착화합물・ 착물(complex)의 광화학적 반응으로부터 생겨나는 이차적 오염물질이다. 이와 같은 이차 적 오염물질의 전구물질・선행물질(precursor)은 NOx와 CO 및 VOCs이다.
대기환경 및 미기상환경 오염현상은 대도시환경이나 도시환경에만 국한되지 않고, 어디 서나 일어나고 있을 만큼 일반적이므로, 농어촌에서 조차도 상당한 수준의 대기환경 오 염물질이 존재하고 있을 정도이다. 지상층 오존(GLO)은 분자로서는 지구상의 오존과 마찬가지로 산소원자(O) 3개가 결합되어 있는 O3이지만, 지상층의 오존을 포함한 지구 상의 오존은 이차적 오염물질인 전구물질(선행물질) 오염으로 인한 ......<중 략>

참고 자료

Liu, X., et al., “Understanding of regional air pollution over China using CMAQ, Part -I. performance evaluation and seasonal variation“, Atmos. Environ., 44(20), 2010, pp.2415~2426.
Bignala, K.L., et al., “Ecological impacts of air pollution from road transport on local vegetation”, Appl. Geochem., 22(6), 2007, pp.1265~1271.
Hayes, F., et al., “Does a simulated upland community respond to increasing background, peak or accumulated exposure of ozone?”, Atmos. Environ., 44(34), 2010, pp.4155~4164.
Sillman, S., et al., “Ozone-NOx-VOC sensitivity and NOx-VOC indicators in Paris: results from models and Atmospheric Pollution over the Paris Area (ESQUIF) measurements”, J. Geophys. Res., 108, 2003, pp.2156~2202.
Kitwiroon, N., et al., “Improvements in air quality modelling by using surface boundary layer parameters derived from satellite land cover data”, Water, Air Soil Pollut. Focus, 2(5~6), 2002, pp.29~41.
Taha, H., Sailor, D., “Evaluating the effects of radiative forcing feedback in modelling urban ozone air quality in Portland, Oregon: two-way coupled MM5-CMAQ numerical model simulations”, Boundary-Layer Meteorol., 137(2), 2010, pp.291~305.
Cohan, D.S., Hu, Y., Russel, A.G., “Dependence of ozone sensitivity analysis on grid resolution”, Atmos. Environ., 40, 2006, pp.126~135.
Khiem, M., et al., “Process analysis of Ozone formation under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over the Kanto region of Japan using the MM5-CMAQ modelling system”, Atmos. Environ., 44(35), 2010, pp.4463~4473.
Wang, N., et al., “Simulation of ozone formation at different elevations in mountainous area of Hong Kong using WRF-CMAQ model”, Sci. Total Environ., 505C, 2015, pp.939~951.
Cope, M.E., et al., “The Australian air quality forecasting system: exploring first steps towards determining the limits of predictability for short-term ozone forecasting”, Boundary-Layer Meteorol., 116(2), 2005, pp.363~384.
Hogrefe, C., et al., “Daily simulation of ozone and fine particulates over New York State: findings and challenges”, J. Appl. Meteorology Climatol., 46(7), 2007, pp.961~979.
Li, J., et al., “Modeling study of surface ozone source-receptor relationships in East Asia”, Atmos. Res., 167, 2016, pp.77~88.
Tong, D.Q., et al., “Using air quality modeling to study source-receptor relationships between nitrogen oxides emissions and ozone exposures over the United States”, Environ. Int., 35(8), 2009, pp.1109~1117.
Vijayaraghavan, K., et al., “Effects of light duty gasoline vehicle emission standards in the United States on ozone and particulate matter”, Atmos. Environ., 60, 2012, pp.109~120.
Thompson, T.M., et al., “Air quality resolution for health impact assessment: influenc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tmos. Chem. Phys., 14, 2014, pp.969~978.
Kumar, R., et al., “Simulations over south Asia using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with chemistry(WRFChem):chemistry evaluation and initial results”, Geosci. Model Dev., 5, 2012, pp.619~648.
Roy, S.D., Beig, G., Ghude, S.D., “Exposure-plant response of ambient ozone over the tropical Indian Region”, Atmos. Chem. Phys., 9, 2009, pp.5253~5260.
Itahashi, S., Uno, I., Kim, S., “Seasonal source contributions of tropospheric ozone over East Asia based on CMAQ-HDDM”, Atmos. Environ., 70, 2013, pp.204~217.
Sharma, S., et al., “Sensitivity analysis of ground level ozone in India using WRF-CMAQ models”, Atmos. Environ., 131, 2016, pp.29~40
Chatani, S., et al., “Photochemical roles of rapid economic growth and potential abatement strategies on tropospheric ozone over South and East Asia in 2030”, Atmos. Chem. Phys., 14, 2014, pp.9259~9277.
Lee, J.-B., et al., “Projections of summertime ozone concentration over East Asia under the multiple IPCC SRES emissions scenarios”, Atmos. Environ., 106, 2015, pp.335~346.
Sahu, L.K., et al.,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tropospheric ozone over an urban site in India: a study based on MOZAIC and CCM vertical profiles over Hyderabad”, J.Geophys.Res. Atmos., 119, 2014, pp.3615~3641.
Grenfell, J.L., Shindell, D.T., Grewe, V., “Sensitivity studies of oxidative changes in the troposphere in 2100 using the GISS GCM”, Atmos. Chem. Phys., 3, 2003, pp.1267~1283.
Bond, T.C., et al., “Bounding the role of black carbon in the climate system: a scientific assessment”, J. Geophys. Res. Atmos., 118, 2013, pp.5380~5552.
Kim, Y., et al., “Improving ozone modeling in complex terrain at a fine grid resolution e-Part II: influence of schemes in MM5 on daily maximum 8-h ozone concentrations and RRFs (Relative Reduction Factors) for SIPs in the non-attainment areas”, Atmos. Environ., 44(17), 2010, pp.2116~2124.
Sule, N.V., et al., “A decision making framework for assessing control strategies for ground level ozone”, Atmos. Environ., 45(28), 2011, pp.4996~5004.
Zhang, H., Ying, Q., “Contributions of local and regional sources of NOx to ozone concentrations in Southeast Texas”, Atmos. Environ., 45, 2011, pp.2877~2887.
*오*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프레시홍 - 전복
탑툰 이벤트
연구자료 277 (기상환경 오존광화학) 기상환경 오존의 광화학적 이동과 오염현상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