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국 대중문화의 세계화와 아시아 최고의 문화로 발전 영문 에세이

한국 대중문화는 아시아에서 최고의 위치에서 아시아 전국가에 영향을 주고 있다. 아시아 뿐만아니라 전세계로 뻗어나가는 한국 한류 문화에 대한 분석을 영어로 얘기하는 에세이입니다
12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2.12.18 최종저작일 2011.03
12P 미리보기
한국 대중문화의 세계화와  아시아 최고의 문화로 발전  영문 에세이
  • 미리보기

    소개

    한국 대중문화는 아시아에서 최고의 위치에서 아시아 전국가에 영향을 주고 있다.
    아시아 뿐만아니라 전세계로 뻗어나가는 한국 한류 문화에 대한 분석을 영어로 얘기하는 에세이입니다

    목차

    1. Introduction
    2. Subjective Factor: Qualities of Korean Entertaining Industries and Pop Stars
    3. Subjective Factor: Attitude of Koreans towards Korean Entertaining Industries
    4. Objective Factor: Globalization
    5. Objective Factor: Hybridity
    6. Impact: Cultural Imperialism
    7. Conclusion

    본문내용

    Since 1990s, Korean Popular Culture has had a strong influence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China, Hong Kong, Taiwan, Japan and Singapore. This new popular cultural phenomenon in Asia is called the “Korean Wave”, also known as hallyu in Korean pronunciation, which refers to the surge of popularity of Korean popular culture abroad, particularly in Asia(Kin 284). The “Korean Wave” is first coined in mid-1999 by journalists in Beijing who are surprised by the fast growing popularity of Korean entertainment and popular Culture in China(Fiaola 1).
    Korean Wave certainly brings a big hit to Asian countries, but at the same time, some anti-Korean feelings are aroused as they considered the Korean Wave as a threat that may affect their lives. In China, one of the places where that were first hit by the Korean Wave, Korean TV dramas and pop songs are popular among people. This aroused anti-Korean feeling from the Chinese directors that they believe the Korean Wave is destroying the Chinese entertaining industries. Hong Kong is also affected by the Korean popular culture since the release of loads of Korean films and TV dramas, together with the associated artists and theme songs, while one of the Korean TV dramas even broke the rating record of Hong Kong TV dramas.

    참고자료

    · Beng Huat, Chua & Iwabuchi, Koichi. East Asian Pop Culture: Analysing the Korean Wave. Hong Kong: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2008. Print.
    · Browne, Ray Broadus. Popular Culture Values and the Arts: Essays on Elitism Versus Democratization. Jefferson: McFarland. 2009. Print.
    · Choi, Jung Ah. New Generations Career Aspirations and New Ways of Marginalization in a Postindustrial Economy.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London: Routledge, (2010). P.269-283
    · Diffrient, David Scott. Shiri. Film Quarterly 54.3 (2001): 40-46. Print.
    · Faiola, Anthony. Japanese Women Catch the Korean Wave. The Washington Post. 2006: 1. Web. 10 May 2011.
    · Friedman, Thomas L. The World Is Flat. London, England: Penguin Books. 2005. Print.
    · Held, David. and McGrew, Anthony. The Global Transformations. Cambridge: Polity. 2003. Print.
    · Kim, Youna. Media Consumption and Everyday Life in Asia. Routledge Advances in Internationalizing Media Studies. New York: Taylor & Francis Group, 2008.
    · Kin, Joong Keun. Koreas Changing Roles in South E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