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령향안의 입록과 이와 관련된 갈등양상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05.12
39P 미리보기
의령향안의 입록과 이와 관련된 갈등양상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명학연구 / 20권
    · 저자명 : 김준형

    목차

    I. 머리말
    II. 의령향안의 종류와 入錄시기
    III. 향안입록 가문의 분석
    1. 입록 가문의 시기별 분포
    2. 입록 가문의 성격
    IV. 향안입록을 둘러싼 갈등
    V. 맺음말

    초록

    이 글에서는 의령향안의 작성시기 및 입록자 가문의 분포, 입록을 둘러싼 갈 등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의령향안은 16세기 말부터 1630년대까지 입록이 지 속적으로 이루어지다가 이후 한동안 향안 입록의 사실이 보이지 않는다. 1698 년에 가서 다시 입록이 이루어지고 다시 1707년에도 작성되지만, 이를 기점으 로 의령 사족층의 정상적인 향안입록은 종식된 것 같다. 원래 의령에는 의령현과 신번현의 토성이 있었지만, 그동안의 역사적 변천 속 에서 대부분 사라지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해 버렸다. 그 대신 고려 말 이후 조 선 중기에 걸쳐 다른 성씨들이 의령에 들어와 정착하였다. 이 가문의 인물들은 의령에 정착한 이후 문과와 생진과 및 무과에 합격하여 관직에 진출함으로써, 사족가문으로서의 권위를 유지해 나가고 있었다. 또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임란 이후 의령에서의 그들의 입지를 강화하기도 하였다. 이들 은 상호간에 중첩적인 결혼관계를 유지하면서 자신들의 지배적인 지위를 유지 해 나가려 하였다. 의령에서의 향안 입록을 둘러싼 갈등양상으로는 우선 단향 모록의 문제를 들 수 있다. 단향자는 입록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은 의령지역에서도 17세기 후반 단향자들의 입록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다른 고을과 마찬 가지로 향안 입록에서 적용되던 엄격한 기준이 서서히 붕괴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고 하겠다. 17세기 후반 의령에서는 향안 입록을 둘러싼 가문간의 갈등도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향안 입록을 둘러싼 분쟁이 격화되면서 향안의 작성은 1707년을 마지막으로 실질적으로 종식되었다. 의령에서도 서 인, 노론의 당파 입장을 취하는 가문이 나타나기는 했지만, 향안 입록을 둘러싸 고 다른 고을에서 나타났던 당파간의 갈등현상은 의령지역에서는 향안 작성이 종식될 당시까지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던 것 같다. 이것은 인근 고을인 진주에서 당파적 갈등이 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8세기 말까지 향안 입록이 지속되고 있었던 점과도 대비된다. 이처럼 같은 경상우도 에 속해 있다 하더라도 고을마다 향안 작성의 종식 현상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looked over the times of the making of the hyangans(鄕 案) and the family spread of the entrants into them and the complications for entering them in Euryong(宜寧) in the late Chosun dynasty. Entering the hyangans had appeared continuously from the 16th centry to the 1630's, but it had not appeared for some time since. Though it appeared again in 1698 and 1707, the making of the hyangans might be stopped after this time. Originally, there were the native families of Euryonghyon(宜寧縣) and Sinbunhyon(新繁縣) in Euryong, but most of them disappeared or moved to other district in the course of the historical changes. While from the end of Koryo dinasty to the middle period of Chosun dinasty other families immigrated in Euryong. The members of these families kept their authorities as the sajok(士 族) families by becoming the public servants through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or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and passing the minor civil examination(生進科) in Euryong. They also strengthened their standings by raising the loyal armies in imjinweran(1592 war). They tried to maintain their dominant positions by keeping the metrimonial relations overlaped each other. One of the complications for entering the hyangan resulted from the problem of the unfair entries to the hyangans by the danhyangs(單鄕: persons insufficient to the capacities). Since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here also appeared several cases that the danhyangs entered the hyangans in Euryong where they could not entered the hyangans. It shows that the stern standards which were applied on the entry to the hyangans gradually broke down. There were various complications for entering the hyangans among the families in Euryong in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oo. Thus as the complications for entering the hyangans became vigorous, the making of the hyangans was ended in 1707. Though the part of the sajok families gradually turned to the positions of Suin(西人) or Noron(老論) in Euryong, few complications between the political parties that appeared in other districts did not yet appear before those days when the making of the hyangans was stopped. It is set against the fact that the making of the hyangans was continued till the end the 18th century in Jinju where the complications between the political parties were violent. Thus the figures stopping the making of the hyangans appeared variously according to each distrit though the districts belonged to the same area, Kyongsangudo.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명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