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敎師養成을 위한 敎師知覺開發課程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1972.01
13P 미리보기
敎師養成을 위한 敎師知覺開發課程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10권 / 1호
    · 저자명 : 李烘雨, 柳岸津

    목차

    Ⅰ. 問題의 重要性
    Ⅱ. 成功的인 敎師의 知覺心理學的 觀點
    Ⅲ. 成功的인 敎師의 知覺體系
    Ⅳ. 情意的 學習模型
    Ⅴ. 敎師知覺開發課程(PADP)의 構案
    Ⅵ. 實驗과 適用을 위한 提議
    參考文獻
    Abstract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theoretical possibility, and suggest the general outline of a program for developing a set of attitudes or “modes of perception” relevant to teaching profession. a program tentatively called Perceptual Adequacy Development Program(PADP). We intend this program to be incorporated into the professional education component of teacher education.
    We have relied on two theoretical sources for conceptualizing PADP. One is the A. W. Combs' list of successful teacher's modes of perception, based on his formulation of perceptual psychology. He lists some twenty bipolar modes of perception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 under the headings of perception of other people, of the self, and of the purpose of education. The other is the model of affective learning as suggested by D.C. McClelland in his program for developing Achievement Motive. Basically what he did in his program is to define Achievement Motive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put into educational operation, and to modilize all measures of developing the motive with in the reach of current psychological knowledge.
    For PADP, the latter source gives a general framework, and the former provides the content to be fed into the framework. Thus, PADP consists of the following four component stages of units: The first unit is designed to create the sense of commitment to the program in the participants, i.e., to lead them to believe that it is worthwhile for them to take part in the program. During the second unit, the participants are to practice the verbal or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the perceptual adequacy. The third unit provides the participants with the opportunity to examine their self-concepts and the current social values with specific reference to teaching profession. In the fourth unit, the participants are to review the whole program and to make future plans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It should be stressed also that the group atmosphere throughout the program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conception of PADP is based on the ubiquitous emphasis on teacher's attitudes, or the so-called “sense of vocation.” Apart from lip-service to that “sense of vocation,” we believe, no practical measures are being taken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pull the diverse and often widely scattered professional education subjects together so that they help the prospective teachers build a meaningful and enduring “outlook” to their vocation. We propose that PADP can be the initial step toward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states of teacher education in this respect. Continuous experimentation of PADP is earnestly desir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