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옛 아이들 노래를 오늘 아이들에게 돌려주는 길 찾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7.01
35P 미리보기
옛 아이들 노래를 오늘 아이들에게 돌려주는 길 찾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25호
    · 저자명 : 편해문

    목차

    1. 전래동요에서 아이들 노래로
    2. 아이를 잃어버린 연구와 경연대회 그리고 교육
    3. 놀이를 읽어버린 어린이 도서와 음반
    4. 아이들이 만드는 아이들 노래
    5. 아이들 노래의 전승과 창조의 길목에서
    참고문헌

    초록

    옛 아이들 노래를 오늘 아이들에게 돌려주는 길 찾기는 가장 먼저 아이들은 누구이고 아이들에게 노래란 무엇인가 라는 문제에 깊이 천작해야 한다. 이처럼 아이들이란 존재에 대한 단단한 이해를 바탕으로 아이들 노래의 문제로 넘어가야 마땅하다. 아이들 노래의 보존과 전승 및 계승 그리고 창조는 모두 필요하다. 아이들 노래를 새롭게 창조하려면 아이들 노래의 보존과 전승 및 계승에 고루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아이들 노래의 보존에 힘쓰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보존된 옛 아이들 노래를 오늘 아이들과 어떻게 만날 것인가는 쉽지 않은 일이다. 여기에 전승과 계승, 창조를 염두에 둔 보존의 논리가 있어야 한다.
    한편, 앞서 나온 아이들 노래 음반이나 도서를 살펴본 결과 뚜렷한 발전적 흐름을 만들지 못하고 한발 앞으로 나갔다가 다시 뒤로 한발 물러서는 반복이 되풀이 되고 있었다. 이렇게 될 수밖에 없는 뿌리 깊은 까닭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더니, 첫 번째, 창작하시는 분들이 본디 아이들 노래의 원형에 대한 접근을 과감하게 시도하지 않기 때문이었다. 원형을 모르니 끝없는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지금까지 되풀이 되는 것이다. 우리 구비문학이 함께하거나 거들 수 있는 대목이다. 두 번째는 아이들 노래라는 것이 새롭게 창작하기에 앞서 수많은 시간의 검증을 거쳐 오늘에 이른 ‘완성태’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 까닭에 너무나 쉽게 손을 대는 태도의 문제이다.
    세 번째는 앞서도 길게 이야기했던 놀이를 모르는 까닭이다. 네 번째는 한국음악 전공자들은 아이들 노래를 가다듬는 일을 크게 의미 있는 일로 생각하지 않고, 서양음악 전공자들은 아이들 노래와 세계에 대한 깊은 천착 없이 자신들이 익숙한 음악 문법에 따라 아이들 노래를 만들기 때문이다. 다섯 번째 가장 큰 까닭은 아이들의 예술 세계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부족한 까닭이다. 아이들은 노래의 수용자가 아닌 창조자라는 것을 지나친 때문이다.

    영어초록

    In finding a way to return children’s songs of old times to today’s children, the first thing to do is to dig into the questions of who children are and what meanings songs have to children. It is reasonable to proceed to the question of children’s songs based on clear 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of children. The preservation, transmission, succession and creation of children’s songs are all necessary. To create children’s songs, it is also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reservation, transmission and succession of children’s songs. The same is true for efforts to preserve children’s songs. However, it is not easy to help today’s children enjoy children’s songs of old times. Here, it is needed to establish a logic of preservation that considers transmission, succession and creation.
    Meanwhile, the examination of the discs and books related to previous children’s songs shows that there has not been any conspicuous flow of development, only repeating one step forward and then one step backward. What are the root causes of such a situation?
    First, song writers did not try to make a brave approach to the prototypes of children’s songs. Without knowing the prototypes, you cannot but get into a confusion repeatedly. This is an area in which our folklore literatures can help or go together.
    Second, children’s songs represent ‘complete forms’ which have gone through thorough verification of time and some writers easily attempt to create songs without recognizing such a fact before writing.
    Third, song writers do not understand plays, which has been discussed in depth in the above.
    Fourth, those who major in Korean music do not regard it greatly meaningful to refine children’s songs while those who major in Western music tend to create children’s songs according to their musical grammar to which they are accustomed without deep understanding of the songs and the world of children.
    Fifth, the most important reason is that song writers lack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the artistic world of children. They neglect the fact that children are song creators, not song receiver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후